에스트로겐 (Estrogen)

  1. 에스트론(E1): 폐경 후 주로 활동, 가장 약한 에스트로겐.
  2. 에스트라디올(E2): 가임기 주요 에스트로겐, 가장 강력함, 생식 및 월경 조절.
  3. 에스트리올(E3): 임신 중 주요 에스트로겐, 태반에서 분비, 임신 유지.

정상 범위

임신 시 매우 증가한다. 임신이 진행될 수록 증가하다가 만삭이 가까울 때에는 배란기 때의 약 1000배..!

가임기 여성:

  • 난포기(생리 시작부터 배란 전): 20~150 pg/mL
  • 배란기: 150~450 pg/mL
  • 황체기(배란 후): 30~450 pg/mL

폐경 후 여성:

  • 폐경 후: 10~50 pg/mL

분류

에스트로겐은 주로 세 가지 주요 호르몬으로 구성됩니다: 에스트론(E1), 에스트라디올(E2), 에스트리올(E3). 각각은 신체에서 다른 역할과 특징을 가지며, 생애 주기 및 특정 상태에 따라 다르게 분비됩니다. 이 세 가지 에스트로겐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에스트론(Estrone, E1)

- 주된 특징:

  1. 에스트론은 폐경 후 주로 발견되는 에스트로겐입니다.
  2. 세 가지 에스트로겐 중 가장 약한 형태입니다.
  3. 체지방 조직에서 변환되어 생성되며, 간, 근육 및 지방 조직에 저장됩니다.

- 주로 발견되는 시기:

  1. 폐경 후 여성에서 가장 주된 에스트로겐입니다.

- 생리적 역할:

  1. 폐경 후 여성의 호르몬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체지방에서 주로 생성되며, 생식 기관에 약한 자극을 줍니다.

- 수치 범위:

  1. 가임기 여성: 낮은 수치
  2. 폐경 후 여성: 약 10-60 pg/mL

Estrone (E1, and also oestrone) is an estrogenic hormone secreted by the ovary as well as adipose tissue with the chemical name of 3-hydroxyestra-1,3,5(10)-triene-17-one and the chemical formula C18H22O2. Estrone is an odorless, solid crystalline powder, white in color with a melting point of 254.5 °C and a specific gravity of 1.23.

에스트라디올(Estradiol, E2)

- 주된 특징:

  1. 에스트라디올은 가장 강력한 에스트로겐이며, 가임기 여성에서 주요 에스트로겐입니다.
  2. 난소에서 주로 생성되며, 월경 주기와 생식기능을 조절합니다.

- 주로 발견되는 시기:

  1. 가임기 여성에서 가장 중요한 에스트로겐이며, 폐경 전 여성의 주요 성호르몬입니다.

- 생리적 역할:

  1. 생식 기능을 유지하고 월경 주기를 조절합니다.
  2. 뼈, 심혈관 건강, 피부 탄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 배란, 임신 준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치 범위:

  1. 난포기: 20-150 pg/mL
  2. 배란기: 150-450 pg/mL
  3. 황체기: 30-450 pg/mL
  4. 폐경 후 여성: 10-50 pg/mL

에스트리올(Estriol, E3)

- 주된 특징:

  1. 에스트리올은 임신 중에 주로 생성되며, 임신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가장 약한 에스트로겐 중 하나이지만, 임신 시에는 가장 많이 분비됩니다.

- 주로 발견되는 시기:

  1. 임신 중에 주로 나타나며, 태반에서 주로 생성됩니다.

- 생리적 역할:

  1. 임신 중 자궁 및 태아 발달을 돕고, 임신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임신 중 자궁 성장 및 혈류를 촉진합니다.

- 수치 범위:

  1. 임신하지 않은 여성: 매우 낮음
  2. 임신 중: 임신 3분기에는 최대 8,000-30,000 pg/mL 이상

에스트로겐 반응성 조직

에스트로겐에 의해 활동하는 조직; Estrogen responsive tissue

  • HPO axis
  • Breast
  • Uterus
  • Vagina
  • Skin
  • Bone
  • Liver

역가는 프레미나 0.625mg = 프로기노바 1mg 입니다

참고

연결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