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infertility [2021/05/08 14:56] – [체외수정] V_L | med:infertility [2025/07/19 03:29] (현재) – 162.158.193.101 | ||
---|---|---|---|
줄 5: | 줄 5: | ||
여성의 임신 능력은 35세를 중심으로 다소 저하되다가 40세 이후에는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난임 부부의 비율은 전체 부부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여성의 임신 능력은 35세를 중심으로 다소 저하되다가 40세 이후에는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난임 부부의 비율은 전체 부부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 ||
+ | [[amh]] | ||
====원인==== | ====원인==== | ||
- | | + | |
+ | |||
+ | [[tubal factor infertility]] | ||
+ | =====약물===== | ||
+ | |||
+ | ^약물군 | ||
+ | | 배란유도제 | ||
+ | | 난포자극호르몬 | ||
+ | | 배란억제제 | ||
+ | | 배란유도트리거 | 오비트렐, | ||
+ | | [[med: | ||
=====치료===== | =====치료===== | ||
줄 18: | 줄 28: | ||
====인공수정==== | ====인공수정==== | ||
- | 인공수정은 배란기에 정자를 처리하여 정제 처리된 정자를 자궁 속에 넣어주는 시술임. 수정은 정상적인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난관에서 일어나므로 최소한 한쪽 난관은 이상이 없어야 함. | + | 인공수정은 배란기에 정자를 처리하여 정제 처리된 정자를 자궁 속에 넣어주는 시술임. 수정은 정상적인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난관에서 일어나므로 최소한 한쪽 난관은 이상이 없어야 함. |
- | 인공수정은 배란 방법에 따라 자연배란 인공수정과 과배란 인공수정이 있는데, 과배란 인공수정은 호르몬 주사를 맞고 과배란을 유도하게 된다. 인공수정 시술을 하기 전까지 병원을 2-3회 내원하고, | + | 인공수정은 배란 방법에 따라 자연배란 인공수정과 과배란 인공수정이 있는데, 과배란 인공수정은 호르몬 주사를 맞고 과배란을 유도하게 된다. 인공수정 시술을 하기 전까지 병원을 2-3회 내원하고, |
시술비용 또한 부담이 적어서 경미한 불임증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임. 그러나 난관이 폐쇄된 경우나 남성불임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시술비용 또한 부담이 적어서 경미한 불임증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임. 그러나 난관이 폐쇄된 경우나 남성불임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
줄 68: | 줄 78: | ||
정자의 처리 과정을 거쳐서 난자와 함께 체외에서 수정을 시킨다. 정자와 난자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연적인 수정이 이루어진다. (( 16~18시간 후 난자 주위의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수정 여부를 판별하는데, | 정자의 처리 과정을 거쳐서 난자와 함께 체외에서 수정을 시킨다. 정자와 난자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연적인 수정이 이루어진다. (( 16~18시간 후 난자 주위의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수정 여부를 판별하는데, | ||
- | 배아의 등급에 따라서 이식하는 배야의 개수를 정하고 이식 날짜를 선정함. 일반적으로 3일 배양과 5일 배양 후에 이식을 하게 된다. | + | 배아의 등급에 따라서 이식하는 배야의 개수를 정하고 이식 날짜를 선정함. 일반적으로 3일 배양과 5일 배양 후에 이식을 하게 된다. |
심한 남성 난임으로 | 심한 남성 난임으로 | ||
- | 자연적인 수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세수정(ICSI)을 통해 인위적으로 수정을 도와준다. 수정 후 2-5일간 배양을 하고, 환자의 상태와 | + | 자연적인 수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
{{: | {{: | ||
줄 85: | 줄 94: | ||
가느다란 관을 이용하여 질을 통해 자궁내막에 이식함. 수정란 이식 후에 병원에서 휴식을 취한 뒤에 귀가하면 되고 귀가 후에는 일상생활에서 크게 무리한 일을 하지 않는 것이 좋고 임신확인까지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 가느다란 관을 이용하여 질을 통해 자궁내막에 이식함. 수정란 이식 후에 병원에서 휴식을 취한 뒤에 귀가하면 되고 귀가 후에는 일상생활에서 크게 무리한 일을 하지 않는 것이 좋고 임신확인까지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 ||
+ | |||
+ | ===동결보존=== | ||
+ | 적정수의 배아이식 후 여분의 배아를 2개의 전핵 단계, 난할 | ||
+ | 단계, 혹은 포배기 단계에서 동결보존하여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융해하여 자궁내로 이식하면 불임환자에서 임신율을 높일 수 있고, 소모되는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다태임신에 따른 산과적 합병증도 감소시킬 수 있다. | ||
+ | 동결 보존 및 융해 후 배아의 생존율은 2/3 정도이다. | ||
+ | |||
+ | 이러한 배아의 동결보존은 | ||
+ | 반영구적이며, | ||
+ | 으로 준비만 되면 융해하여 배아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