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tech:trello [2015/03/31 01:38] – 만듦 V_Ltech:trello [2016/07/12 00:56]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trello 온라인협업 도구 트렐로 }}
 ====== Trello ====== ====== Trello ======
 프로젝트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더구나 실물이 아닌 SW의 경우, 완성물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 간에 상이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오류만 줄여도 프로젝트의 성공율은 높아진다.  프로젝트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더구나 실물이 아닌 SW의 경우, 완성물에 대한 서로간의 이해도가 다를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 간에 상이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사고가 자주 발생하곤 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오류만 줄여도 프로젝트의 성공율은 높아진다. 
- 
-그러면 어떤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 해야 잘 될까? 개인적으로는 직접 이야기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하지만 이는 호흡이 잘 맞는 경우에나 가능하지 대부분의 경우 증거(?)가 남지않아 서로 곤혹스러울 때가 많다. 그래서 문서를 만들고 이메일을 보내지만 이 역시 버전의 관리나 타이밍의 이슈로 흘러 보낼 때가 많다. MS project는 그 구성이 너무나 비용화되어 있어서 정이 가지않는다. 
- 
-최근에는 협업툴이라는 것들이 다수 공개되어 문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지만 서비스의 구성이 개발이나 QA에 치우져 있어 현업에서 사용하기 그리 쉽지않다. 또한 가격도 무시하기 힘들다. 
- 
-Trello는 이러한 협업툴 중에서 가격의 부담이 없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툴로 강력 추천한다. 물론 1년 이상을 사용하였고 지금도 사용하는 중이다. 
  
  Fog creek software 사에서 출시한  Fog creek software 사에서 출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협업 툴다~!!+Trello는 가격의 부담이 없고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툴로 강력 추천 .  
 + 
 프로그래밍 아니라 다른 작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프로그래밍 아니라 다른 작업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https://trello.com/
  
   * 회원 가입 : 구글 계정으로 간편하게 로그인   * 회원 가입 : 구글 계정으로 간편하게 로그인
줄 25: 줄 21:
 먼저 트렐로 사이트에 접속한다. 구글 계정이 있다면 따로 계정을 등록할 필요 없이 구글 계정으로 간편히 회원가입할 수 있다. 먼저 트렐로 사이트에 접속한다. 구글 계정이 있다면 따로 계정을 등록할 필요 없이 구글 계정으로 간편히 회원가입할 수 있다.
  
-첫 로그인 후 할 일+
  
 처음 사용한다면 2가지 작업을 먼저 해두면 쓸모가 있다. 처음 사용한다면 2가지 작업을 먼저 해두면 쓸모가 있다.
줄 31: 줄 27:
 먼저 [Account] 메뉴에서, Full Name과 Initials를 자신을 알아볼 수 있는 이름으로 수정해두면 좋다. 각 Board별로 멤버를 사진만으로 구분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름을 한글로 설정해두면, 사진의 툴팁으로 누가 누구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먼저 [Account] 메뉴에서, Full Name과 Initials를 자신을 알아볼 수 있는 이름으로 수정해두면 좋다. 각 Board별로 멤버를 사진만으로 구분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름을 한글로 설정해두면, 사진의 툴팁으로 누가 누구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진을 등록해야 한다. 트렐로 사이트에서 사진을 직접 등록하는 게 아니라 Gravatar 사이트에서 등록한 사진을 풀링해오는 방식이다. [Account] 메뉴에 접속하면 gravatar.사이트가 링크되어 있으므로, 접속해서 로그인한 후 원하는 사진을 등록한다.+그리고 사진을 등록해야 한다. 트렐로 사이트에서 사진을 직접 등록하는 게 아니라 [[Gravatar]] 사이트에서 등록한 사진을 풀링해오는 방식이다. [Account] 메뉴에 접속하면 gravatar.사이트가 링크되어 있으므로, 접속해서 로그인한 후 원하는 사진을 등록한다.
  
 ===Organization 만들기=== ===Organization 만들기===
줄 61: 줄 57:
 라벨은 태그와 같은 것으로, 각 스토리 카드마다 라벨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라벨에는 이름이 부여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로젝트에 맞게 라벨에 이름을 부여한 후 사용한다. 아쉬운 점은 라벨은 총 6개만 제공되며 더이상 추가할 수 없다는 점이다. 라벨은 태그와 같은 것으로, 각 스토리 카드마다 라벨을 설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라벨에는 이름이 부여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로젝트에 맞게 라벨에 이름을 부여한 후 사용한다. 아쉬운 점은 라벨은 총 6개만 제공되며 더이상 추가할 수 없다는 점이다.
  
-{{tag>trello 온라인협업 도구 트렐로 }}+ 
 +=====더보기===== 
 +  * http://consumer20.tistory.com/394 
 +  * https://helloreallplay.wordpress.com/2012/06/30/trello-%ED%98%91%EC%97%85%ED%88%B4-trello-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