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M(Logical Volumn Manager)

LVM은 물리적 스토리지 이상의 추상적 레이어를 생성해서 논리적 스토리지(가상의 블록 장치)를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직접적으로 물리적 스토리지를 사용하는 것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유연성을 제공한다.

장점

  • 유연한 용량
  • 크기 조정 가능한 스토리지 풀(Pool)
  • 온라인 데이터 재배치
  • 편의에 따라 장치 이름 지정
  • 디스크 스트라이핑
  • 미러 볼륨
  • 볼륨 스냅샷

개념

나에게 보여지는 디스크가 하드웨어와 1:1 대응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 것이 좋다.

기존 파일시스템이 블록 장치에 직접 접근해서 읽고/쓰기를 했다면 LVM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이 LVM이 만든 가상의 블록 장치에 읽고/쓰기를 하게 된다.

이 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각 물리볼륨은 그룹을 통해서 묶이고, 논리볼륨을 구성하게 된다. (자세한 설명은 여기를 참조한다)

Mounting a Linux LVM volume You do not mount a partition of type "Linux LVM" the same way you mount a partition using a standard Linux file system (e.g. ext2, ext3).

볼륨그룹

vgconvert

vgconvert 명령어로 LVM1 포멧에서 LVM2 포멧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HDD추가

vgextend JoinedVG /dev/sde1

해당 볼륨그룹에 HDD를 할당한다.

이동

vgmove JoinedVg /dev/sde1

해당 볼륨그룹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면, 해당 하드의 내용물을 다른 곳(HDD)으로 이동한다.

제거

vgreduce JoinedVG /dev/sde1

해당 HDD를 볼륨그룹에서 제거한다.

vgmove 후 vgreduce 를 하면 볼륨그룹을 파괴하지 않고, 자료를 보존하면서 안전하게 HDD를 제거할 수 있다.

논리

lvcreate -L LV용량 -n LV명 VG명 (ex - lvcreate -L 1T -n MyLV MyVG)
lvcreate -l 100%FREE -n Joined-lvm JoinedVG

JoinedVG의 모든 공간을 사용하여 Joined-lvm 형성

$  fdisk -l /dev/hda

Disk /dev/hda: 160.0 GB, 160041885696 bytes
255 heads, 63 sectors/track, 19457 cylinders
Units = cylinders of 16065 * 512 = 8225280 bytes

   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
/dev/hda1   *           1          13      104391   83  Linux
/dev/hda2              14       19457   156183930   8e  Linux LVM
mount /dev/hda2 /tmp/mnt
mount: /dev/hda2 already mounted or /tmp/mnt busy

First, let's determine the volume group containing the physical volume /dev/hda2.

$ pvs
  PV         VG         Fmt  Attr PSize   PFree 
  /dev/hda2  VolGroup01 lvm2 a-   148.94G 32.00M
  /dev/hdb2  VolGroup00 lvm2 a-   114.94G 96.00M

Next, let's list the logical volumes in VolGroup01.

$ lvdisplay /dev/VolGroup01
  --- Logical volume ---
  LV Name                /dev/VolGroup01/LogVol00
  VG Name                VolGroup01
  LV UUID                zOQogm-G8I7-a4WC-T7KI-AhWe-Ex3Y-JVzFcR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Status              available
  # open                 0
  LV Size                146.97 GB
  Current LE             4703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0
  Block device           253:2
   
  --- Logical volume ---
  LV Name                /dev/VolGroup01/LogVol01
  VG Name                VolGroup01
  LV UUID                araUBI-4eer-uh5L-Dvnr-3bI6-4gYg-APgYy2
  LV Write Access        read/write
  LV Status              available
  # open                 0
  LV Size                1.94 GB
  Current LE             62
  Segments               1
  Allocation             inherit
  Read ahead sectors     0
  Block device           253:3

The logical volume I would like to "mount" (in purely the computing-related sense) is /dev/VolGroup01/LogVol00. The other logical volume is a swap partition.

$ mount /dev/VolGroup01/LogVol00 /tmp/mnt

LVM logical volume 확장

vg 볼륨이 1000M 남아있고, lv 볼륨이 현재 100M 이다. 이때 lv 볼륨을 200M 로 확장할려고 한다. 현재 lvm 볼륨은 mount 되어 사용중이다. 온라인 상태에서 확장을 할려고 하는거다.

lvextend -L +100M /dev/vg_data/lv_data ( 볼륨을 확장할 device 이름)
resize2fs /dev/vg_data/lv_data ( 온라인 상태에서 확장할 수 있는 명령어, RHEL 5 에서 사용가능)
df -h 명령어로 확인해 보면 mount 된 볼륨이 확장된걸 확인할 수 있다.

용량이 아니라 클러스터 숫자로 확장하려면 -l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sudo lvextend -l +257 /dev/backup/data
Size of logical volume backup/data changed from 2.73 TiB (715017 extents) to 2.73 TiB (715274 extents).
Logical volume data successfully resized.

LVM thin

LVM은 일반적으로 볼륨을 만들 때 블록을 할당함. 대신 LVM 씬 풀은 기록될 때 블록을 할당함. 이 동작을 씬 프로비저닝이라고함.

장점

공간을 사용할 때에만 할당하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설정된 볼륨이 물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공간보다 훨씬 클 수 있다.

단점

씬 프로비저닝은 실제 용량 이상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하지 않으면 어느 순간 가용 공간이 바닥날 수 있다. 특히 가상화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가용 공간이 없어지는 순간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무엇보다 씬 프로비저닝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호스트에 부하가 발생한다는 점임. 호스트는 지속해서 스토리지 공간의 동적 할당과 공간 회수를 수행해야 한다.

호스트가 미션 크리티컬한 환경일 경우 씩 프로비저닝을 사용하는 편이 좋다.

하드 연결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