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tech:cmaxim114 [2016/07/12 00:56] – 바깥 편집 127.0.0.1tech:cmaxim114 [2017/06/10 16:17] (현재) 121.134.164.159
줄 4: 줄 4:
 중국고사성어 중국고사성어
  
-====== 불 혹(不惑)======+====== 불혹(不惑)======
  
  不:아니 불. 惑:미혹할 혹.  不:아니 불. 惑:미혹할 혹.
줄 12: 줄 12:
  공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논어》〈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공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논어》〈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file>
  吾十有五而志于學 (志學) 나는 열 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  吾十有五而志于學 (志學) 나는 열 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
- 
  三十而立(而立) 서른 살 때 입신했다.  三十而立(而立) 서른 살 때 입신했다.
- 
  四十不惑(不惑) 마흔 살 때는 미혹하지 않고  四十不惑(不惑) 마흔 살 때는 미혹하지 않고
- 
  五十而知天命(知命) 쉰 살 때 하늘의 명을 알았다.  五十而知天命(知命) 쉰 살 때 하늘의 명을 알았다.
- 
  六十而耳順(耳順) 예순 살 때는 귀에 따랐고  六十而耳順(耳順) 예순 살 때는 귀에 따랐고
 +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從心)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해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file>
  
-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從心)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해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 [주] 20세 : 약관(弱冠),60세 : 환갑(還甲). 70세 : [[고희|고희(古稀)]],77세 : 희수(喜壽),
- +
- [주] 20세 : 약관(弱冠),60세 : 환갑(還甲). 70세 : 고희(古稀),77세 : 희수(喜壽),+
  
  88세 : 미수(米壽),99세 : 백수(白壽)  88세 : 미수(米壽),99세 : 백수(白壽)
줄 30: 줄 27:
  《禮記》《曲禮上篇》에서 공자는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생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禮記》《曲禮上篇》에서 공자는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생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 "사람이 태어나 열살이 되면 어린이(幼)라 하여 배워야 한다. +"사람이 태어나 열살이 되면 어린이(幼)라 하여 배워야 한다. 
- +> 
- 스무살이 되면 약(弱)이라 하여 성인식을 해야 한다. +스무살이 되면 약(弱)이라 하여 성인식을 해야 한다. 
- +> 
- 서른이 되면 장(壯)이라 하여 아내를 맞이하고 +서른이 되면 장(壯)이라 하여 아내를 맞이하고 
- +> 
- 마흔살이 되면 강(强)이라 하여 벼슬에 나아간다. +마흔살이 되면 강(强)이라 하여 벼슬에 나아간다. 
- +> 
- 쉰이 되면 애(艾)라 하여 정치에 참여하고 +쉰이 되면 애(艾)라 하여 정치에 참여하고 
- +> 
- 예순살이 되면 기(耆)라 하여 사람에게 지시하여 일을 한다. +예순살이 되면 기(耆)라 하여 사람에게 지시하여 일을 한다. 
- +> 
- 일흔살이 되면 노(老)라 하여 집안의 모든 것을 자식에게 물려 준다. +일흔살이 되면 노(老)라 하여 집안의 모든 것을 자식에게 물려 준다. 
- +> 
- 그리고 여든살, 아흔살이 되면 모라 한다. 일곱 살은 애처롭다는 뜻으로 도(悼)라 하는데, 도와 모의 나이는 죄를 짓더라도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백살은 기(期)라 하여 부양을 받는다.+그리고 여든살, 아흔살이 되면 모라 한다.  
 +
 +>일곱 살은 애처롭다는 뜻으로 도(悼)라 하는데, 도와 모의 나이는 죄를 짓더라도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백살은 기(期)라 하여 부양을 받는다."
  
  [출전]《論語》〈爲政篇〉  [출전]《論語》〈爲政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