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후에 새로 생긴 당뇨병을 말한다.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임신성당뇨병의 유병률은 1990년대에 1.7-3.9%였으나 2007년 이후로 1-2%씩 꾸준히 증가하여 2011년에는 10.5%로 보고하였다.
즉, 10명 중 1명이 임신성 당뇨라고 진단받음.
2단계로 나누어 경구 당부하 검사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당화혈색소(HbA1c)는 임신성 당뇨의 진단적 가치가 없다.1)
임신 초기 첫 방문에서 시행한 혈액검사에서 선별검사와 상관 없이 공복 혈당(Fasting plasma glucose) > 126 mg/dl 또는 우연히 검사한 혈당이 > 200 mg/dl 혹은 당화혈색소 6.5% 이상인 경우 임신 전 당뇨병으로 간주한다.
일반적인 산모는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검사를 해야 한다. 설탕물 (50g) 을 마신 후 1시간 후 피검사로 혈당을 재서 140mg/dl 이상이면 정밀검사를 하게 된다.2)
모든 임신 산모를 임신 24~28주 사이에 5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면 약 15%의 여성의 1시간 후 혈중 당수치가 140mg/dl를 초과하며 , 이러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100g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면 약 15%에서 임신성 당뇨가 진단된다.
Diagnosis of GDM with a 100-g or 75-g glucose load
100g OGTT | 75g OGTT | |
---|---|---|
Fasting glucose mg/dl | ≥95 | ≥95 |
1-h | ≥180 | ≥180 |
2-h | ≥155 | ≥155 |
3-h | ≥140 | 안함 |
임신성 당뇨병 여성에서 혈당조절 목표는 공복혈당이 95mg/dL 미만, 식후 1시간 혈당이 14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은 120mg/dL으로 제시되어 있다.
1-2주 간격으로 fasting/PP2를 검사한다. fasting이 105 이하라면, PP2는 안해도 된다.
혈당을 급격히 올리지 않는, 칼로리가 적은 음식물을 조금씩 자주 먹도록 한다.
저인슐린식이요법참조.
메트포르민 등 일 부 경구 혈당 약제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미국 FDA에서 인정한 경구약제는 없다
임신성 고혈압, 양수막 파열, 태내성장지연, 조산 과거력, 지속적인 출혈, 자궁경관 무력증 등은 운동의 금기이다.
식이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인슐린 투여를 시작한다.
거대아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더 일찍 인슐린 투여를 해야한다는 보고도 있다.
임신성당뇨병은 임신성고혈압, 난산, 산모의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고 거대아, 신생아 저혈당 등을 유발하며 장기적으로는 아이의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국내 산후 당뇨병 발생률은 출산 6~8주후에 10%, 출산후 2년에 15%, 3년에 45%로 성인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분만 후에는 체중감량에 대한 영양 상담을 받아야 함. 체중 감량은 적절한 체중, 수유방법, 연령, 운동을 고려함. 분만 8주후에 약 9-10kg의 체중 감소가 적당함. 이를 위해 분만 후 필요한 범위 내에서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이요법을 수행함. 꾸준한 식이요법, 운동요법, 스트레스 관리, 표준 체중관리를 위해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함.
임신성 당뇨 산모의 약 반수에서 20년 이내에 현성 당뇨(임신이 아닌 당뇨)로 진행된다.
특히 제 2형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는 공복 혈당이 높은 경우, 산모의 나이가 많은 경우, 임신 24주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 임신 중 인슐린 치료를 받을 만큼 혈당이 높은 경우 및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임. 이런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는 임신성 당뇨병에서 산후 당뇨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방법을 수행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