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ovulation_induction [2022/08/10 03:13] – ↷ Links adapted because of a move operation V_L | med:ovulation_induction [2024/11/14 02:05] (현재) – [난포자극호르몬(fsh)] V_L | ||
---|---|---|---|
줄 125: | 줄 125: | ||
- | * 항에스트로겐 효과 : 자궁경관점액의 양과 질이 떨어진다.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방법은 효과가 적고 [[인공수정]]으로 비켜가는 것이 더 권장된다. | + | * 항에스트로겐 효과 : 자궁경관점액의 양과 질이 떨어진다.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방법은 효과가 적고 [[intrauterine_insemination]]으로 비켜가는 것이 더 권장된다. |
* Premautre LH surge & Progesterone production | * Premautre LH surge & Progesterone production | ||
* 자궁내막위축 | * 자궁내막위축 | ||
줄 137: | 줄 137: | ||
* 치료전 난소억제 | * 치료전 난소억제 | ||
- 클로미펜을 쓰기 전에 [[경구피임약]]을 약 6개월간 사용하여 난소를 억제시킨 후 클로미펜을 사용한다. | - 클로미펜을 쓰기 전에 [[경구피임약]]을 약 6개월간 사용하여 난소를 억제시킨 후 클로미펜을 사용한다. | ||
- | - GnRH agonist를 사용하여 억제 | + | - [[GnRH agonist]]를 사용하여 억제 |
* 브로모크립틴 - [[prolactin]]이 높아져 있는 환자가 아니더라도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약 2달정도 사용해보고, | * 브로모크립틴 - [[prolactin]]이 높아져 있는 환자가 아니더라도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약 2달정도 사용해보고, | ||
* Pure FSH | * Pure FSH | ||
줄 180: | 줄 180: | ||
hMG 단독보타 주사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med: | hMG 단독보타 주사량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med: | ||
+ | |||
+ | |||
+ | 배란 유도 과정에서 페마라(레트로졸)를 복용한 후 HMG 주사를 처음 맞는 시기는 보통 다음과 같다. | ||
+ | |||
+ | - 페마라 복용: 보통 생리 시작 후 3~5일째부터 5일간 페마라를 복용함. 페마라는 난포 성장을 촉진하여 배란을 돕는 약임. | ||
+ | - HMG 주사 시작: 페마라 복용이 끝난 직후인, 보통 생리 시작 후 8일째 즈음부터 HMG 주사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HMG는 난포 자극 호르몬이 포함된 주사제로, | ||
====난포자극호르몬(fsh)==== | ====난포자극호르몬(fsh)==== | ||
줄 197: | 줄 203: | ||
의사는 초음파와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로 언제 hcg를 주입해야할 지 결정한다. hcg를 주입한 후에도 배란이 일어나지 않으면, 다시 hmg나 fsh의 사용을 고려해봅니다. | 의사는 초음파와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로 언제 hcg를 주입해야할 지 결정한다. hcg를 주입한 후에도 배란이 일어나지 않으면, 다시 hmg나 fsh의 사용을 고려해봅니다. | ||
- | 난포가 잘 발달된 후에 [[hcg|hCG주사제]]를 사용함으로써 배란을 유도할 수 있다. 주사 후 약 38~40 시간 후에 배란이 일어난다. (([[HCG Injection After Ovulation Induction With Clomiphene Citrate|http:// | + | 난포가 잘 발달된 후에 [[hcg|hCG주사제]]를 사용함으로써 배란을 유도할 수 있다. 주사 후 약 38~40 시간 후에 배란이 일어난다. (([[http:// |
난자채취도 주사 후 34~36시간 후 (배란 직전) 에 한다. | 난자채취도 주사 후 34~36시간 후 (배란 직전) 에 한다. | ||
- | HCG 주사는 [[med: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배란유도를 하는 환자에서 약 5-10%에서 발생한다. | + | HCG 주사는 [[med:ohss]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 배란유도를 하는 환자에서 약 5-10%에서 발생한다. |
최대난표의 평균직경이 17~18mm에 도달하면 투여한다. | 최대난표의 평균직경이 17~18mm에 도달하면 투여한다. | ||
줄 238: | 줄 244: | ||
* [[ohss|난소 과자극증후군(ohss, | * [[ohss|난소 과자극증후군(ohss, | ||
- | * 다태임신 - 과배란유도와 더불어 보조생식술 시 다태임신의 가능성이 증가하는데, | + | * [[med: |
* 난자 채취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 과배란된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합병증이 있을 수 있는데, 초음파감시하에 질식으로 흡인바늘을 이용한 난자 채취 시 출혈, 감염, 장이나 방광 및 혈관의 손상 등이 있을 수 있다. | * 난자 채취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 과배란된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합병증이 있을 수 있는데, 초음파감시하에 질식으로 흡인바늘을 이용한 난자 채취 시 출혈, 감염, 장이나 방광 및 혈관의 손상 등이 있을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