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소프로스톨 (misoprostol)
미소프로스톨 ( 싸이토텍® )은 자궁수축과 자궁경관 숙화의 목적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임. 그러나 여성의 건강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용량 및 방법으로 투여되어야함으로 주의를 필요로 함.
Misoprostol은 1988년 미국의 Searle사에서 개발한 백색 정제로서 합성 prostaglandin E1 유사체로서 화학명은 (±)methyl 11α, 16-dihydroxy-16-methyl-9-oxoprost-13E-en-1-oate이다. 1990년 Collins 등이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제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위산분비 억제 작용은 물론 점액분비 촉진, 중탄산이온 분비 촉진, 위점막의 혈류량 증가 등과 같은 위점막 보호 작용으로써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특히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의 투여로 인한 위장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된다.
현재 misoprostol의 산과적 이용은 아직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자궁경관숙화와 자궁수축을 일으킬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 prostaglandin E2 제제인 dinoprostone은 FDA의 공인을 받은 반면 misoprostol에 비하여 가격이 매우 비싸고 실온에서 냉장 보관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misoprostol은 dinoprostone과 유사한 산과적 효능을 가지면서 저렴하고 보관과 사용이 간편하다고 알려 지게 되어 산과영역에서 dinoprostone을 대치할 수 있는 약물로 주목받게 되었다.
약물동력학
Misoprostol은 경구 투여시 혈액에서 주 약리학적 활성 대사물인 유리산으로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대사된다. 200μg의 1회 분량의 경구 투여후 최고 혈장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12±3분이며 반감기는 약 20-30분으로 신속하게 배설된다. 축적현상은 나타나지 않으며 2일 이내 혈장에서 정상상태에 도달한다. 위산분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 30분 후에 나타나고 약 3시간 동안 지속된다.
산과적으로는 경구, 질, 직장등의 투여 경로로 이용이 되고 있는데 경구나 질의 점막을 통해 흡수가 잘되고 직장 점막을 통한 흡수도 효과적이다(Bamigboye 등, 1988).
경구투여의 경우는 질내 투여방법보다 간편하기는 하지만 최고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질내투여보다 짧아서 위장관과 심혈관계 부작용의 가능성이 질내 투여방법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다(Zieman 등, 1997).
자궁긴장도에 대한 효과는 경구 투여시에 질을 통한 투여보다 효과는 빠르고 질을 통한 투여에서 더 오랫동안 높은 자궁 긴장도를 유지할 수 있고 약 4시간 동안 지속된다고 한다(Danielsson 등, 1999).
금기증
프로스타글란딘에 과민한 병력이 있다거나 사용할 수 없는 금기가 있을 때와 이상태위, 이전 제왕절개술의 과거력, 전치태반, 태아곤란증, 아두골반불균형 등 유도분만의 일반적인 금기증이 해당된다.
부작용과 독성
경구나 질내 투여 과량 혹은 투여시간의 간격이 길지 않은 경우 자궁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빈맥수축(tachysystole)과 과도긴장(hypertonus)이 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태아곤란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경구투여시는 자궁수축압이 증가한다고 하지만 과도한 자궁수축 (5회/10분간)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Norman 등, 1991). 그러나 질내 투여시 전신적 부작용은 경구 투여시 보다는 낮다.
임신중 경구로 과도하게 섭취한 경우 발열, 오심, 구토, 설사, 두통 등과 저산소혈증, 호흡성 알칼리 증, 대사성산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과도한 자궁수축으로 태아의 사망이 초래될 수 있다(Bond 등, 1994). 최근 유도분만의 목적으로 경구로 100μg의 misoprostol을 3시간 간격으로 4번 사용한 만삭임신의 다산부에서 자궁파열이 발생한 예가 보고되었다(Mathews 등, 2000).
인공임신중절(Induced abortion)시 미소프로스톨 사용주의점
- 인공임신중절이 합법적이지 않은 국가가 많다. 국가별 제도에 대한 확인이필요함.
- 미소프로스톨의 복용 이후 성공적인 임신종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기형을 유발할수 있다고 보고 되었다. 하지만 미소프로스톨의 사용으로 인한 기형의 발생은노출된 태아의 1%미만일 정도로 드문 일임.
- 약물을 통한 유산(Medical abortion)은 일반적으로 수술적 유산(Surgical abortion)보다는 안전함. 미소프로스톨 사용시 유념해야 할 주의점은 자궁파열임. 이는 드물기는 하지만 기왕제왕절개 분만력을 가진 제 2삼분기 임신에서 미소프로스톨이 사용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위험군 여성에게는 낮은 용량으로 미소프로스톨이 사용되어야 함.
13-24 weeks
Insert only two 200-mcg tablets (400-mcg total) under the tongue or in the cheek. Hold tablets in the mouth for 30 minutes to allow them to dissolve. After 30 minutes, swallow any remaining bits with water. Wait three hours before taking another dose. 1)
임신 중 주의점
자궁수축작용이 있고 임부에게 완전 또는 불완전 유산 및 자궁출혈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며 또한 동물실험에서 출생아의 체중증가억제, 착상수의 감소, 생존태아수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임신 첫 삼분기에 미소프로스톨에 노출되면 기형 위험이 대조군에서 2% 확률로 발생한 것에 비해 약 3배 증가한다. 특히, 이 약에 태아가 노출되면 뫼비우스 증후군(사지 결손 유무와 관계없이, 선천성 안면 마비로 인한 표정감소, 빨기, 연하 및 눈의 움직임 어려움), 양막띠 증후군(사지변형, 사지절단, 특히 곤봉발, 손없음증, 손발가락수부족, 구개열 등) 및 중추신경계 이상(무뇌증, 수두증, 소뇌형성저하증, 신경관 결손과 같은 뇌 및 두개골 이상)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약을 투여받은 여성에게 최기형성의 위험을 알려야 하며, 태아가 미소프로스톨에 노출되면 사지와 머리에 주의를 기울여 모니터링을 해야한다. 2)
자연유산시 미소프로스톨 사용주의점
- 미소프로스톨을 불완전 유산에 사용시 1-2주가 지나면 95-99%의 치료 성공률을 보이며 이는 자궁 진공 흡인법 (Vacuum aspiration)만큼이나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궁 진공 흡인법은 빠르게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감염의 징후가 있는 경우에는 치료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 미소프로스톨은 자궁 진공 흡인법보다 여성이 수용하기 쉽다. 현재는개발도상국의 최우선 치료 지침임
유도분만과 자궁내 태아 사망시 미소프로스톨 사용주의점
- 유도 분만을 위해 미소프로스톨을 사용할 때는 자궁의 과도한 수축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낮은 용량으로 사용되어야만 함.
- 기왕제왕절개 분만력이 있는 산모에서 질식분만을 시행할 때 자궁 파열의위험은 6-12%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자궁 반흔이 있는 여성에서 미소프로스톨의 사용은 금기임.
- 자궁의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에 대한 민감도는 임신 주수의 증가나 태아 사망시에 상승하게 된다. 추천되는 미소프로스톨의 용량은 임신 주수에따라 다양하며 임신분기별로 다른 방법으로 주의 깊게 사용되어야 함.
- 경구 미소프로스톨이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dinoprostone 질정이 현재 유도분만의 치료 지침임. 다른 안전한 대체 약물로는 자궁경관 dinoprostone, 옥시토신(Oxytocin), 라미나리아(Laminaria) 혹은 자궁경관을 통한 카테터삽입 (Transcervical Foley catheter) 등이 있다.
분만 후 출혈 예방 및 치료시 미소프로스톨 사용주의점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분만 후 출혈의 예방 및 치료에 미소프로스톨보다는 옥시토신의 사용을 추천함. 그러므로 분만 후 출혈 발생시 옥시토신은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미소프로스톨은 2차 약제로서 사용이 고려되어야 함.
수유여성에게 사용시 주의점
참고
- 1. Philip N, Shannon C, Winikoff B. Misoprostol and Teratogenicity: Reviewing the Evidence. New York 2002.
- 2. Tarim E, Kilicdag E, Bagis T, Ilgin A, Yanik F. Second-trimester pregnancy termination with oral misoprostol in women who have had one cesarean section. Int J Gynaecol Obstet 2005;90(1):84-5.
- 3. Shwekerela B, Kalumuna R, Kipingili R, Mashaka N, Westheimer E, Clark W, et al. Misoprostol for treatment of incomplete abortion at the regional hospital level: results from Tanzania.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2007;114(11):1363-67.
- 4. Dao B, Blum J, Thieb B, Raghavan S, Ouedraego M, Lankoande J, et al. Is misoprostol a safe, effective and acceptable alternative to manual vacuum aspiration for postabortion care? Results from a randomised trial in Burkina Faso,
- West Africa.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2007;114(11):1368-75.
- 5. Weeks A, Alia G, Blum J, Winikoff B, Ekwaru P, Durocher J, et al. A randomized trial of misoprostol compared with manual vacuum aspiration for incomplete abortion. Obstet Gynecol 2005;106(3):540-7.
- 6. Gemzell-Danielsson KC, Fiala C, Weeks A. Misoprostol: first-line therapy for incomplete miscarriage in the developing world.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naecology 2007;114(11):1337-39.
- 7. Plaut MM, Schwartz ML, Lubarsky SL. Uterine rupture associated with the use of misoprostol in the gravid patient with a previous cesarean section. Am J Obstet Gynecol 1999;180(6 Pt 1):1535-42.
- 8. Wing DA, Lovett K, Paul RH. Disruption of prior uterine incision following misoprostol for labor induction in women with previous cesarean delivery. Obstet Gynecol 1998;91(5 Pt 2):828-30.
- 9. Srisomboon J, Pongpisuttinun S. Efficacy of intracervicovaginal misoprostol in secondtrimester pregnancy termination: a comparison between live and dead fetuses. J Obstet Gynaecol Res 1998;24(1):1-5.
- 10. Ho PC, Blumenthal PD, Gemzell-Danielsson K, Gomez Ponce de Leon R, Mittal S, Tang OS. Misoprostol for the termination of pregnancy with a live fetus at 13 to 26 weeks. Int J Gynaecol Obstet 2007;99 Suppl 2:S178-81.
- 11. WHO. WHO Recommendations for the Prevention of Postpartum Haemorrhage Geneva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