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고강도초음파집속술 (Hifu;)
안전성문제로 2016년 7월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진료지침을 발표함.
삼성서울병원 포괄수가제 실시 관련 자궁근종 MR-HIFU시술 비용 변경
http://blog.naver.com/daekon/130025591480
http://blog.naver.com/lynthia/90185213144
18세 이상의 환자로서 출혈, 빈혈, 통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자궁근종 혹은 자궁선근증을 가진 폐경 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주의
다음의 경우에는 시술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 최대 자궁근종의 크기가 12 cm 초과하는 경우
- 다발성 자궁근종으로 장시간의 시술이 예상되는 경우
- 미만성 자궁선근증의 경우
- 초음파가 투과하는 복부 경로상에 반흔(수술흔 등)이 있는 경우
- 복부지방흡입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 이전 고강도초음파집속술(HIFU) 시술에 치료효과가 충분하지 않았던 경우
일반적 금기증
- 임신부
- 여성 생식기 관련 악성 병변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경우
- 골반염 등 생식기 염증이 있는 경우
- 중증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향후 임신 계획
향후 임신 계획이 있는 경우에 대한 권고
자궁근종 및 자궁선근증에 대한 고강도초음파집속술(HIFU) 시술 후 가임력 및 임신의 안전성에 대한 근거는 불충분한 상태이므로, 충분한 임상 근거가 확보되기 전까지 상대적 금기증으로 권고한다.
- 자궁근종에서 가임력 유지를 원하는 경우에도 자기공명영상 유도하 고집적초음파소작술의 시행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발표한 미국 FDA의 결정은 이 시술 후 계획하지 않은 임신을 한 118명의 임상 결과에 근거한 것임
- 자궁근종에 대한 고강도초음파집속술(HIFU) 시술 후 임신하였을 때 자궁파열 및 신생아가 사망한 경우가 보고되었음
시술동의서
시술동의서에는 일반적인 내용 외에 다음 내용이 포함될 것을 권고한다.
- 치료 효과 및 합병증에 대한 설명
- 고강도초음파집속술(HIFU) 외에 다른 치료방법에 대한 설명
- 자궁육종의 가능성에 대한 설명
- 향후 가임력 및 임신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설명
효과
전반적으로 자궁근종에 대한 HIFU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근거의 양 자체가 현저히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존재하는 근거에서 조차 기존의 치료에 비해 우수한 성적을 거두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임상 레지스트리를 통해 현재 Bouwsma EV.A. 등이 자궁근종 상병에 UAE와 비교 한 MRgFUS의 안전성과 효과성에 대한 RCT(FIRSTT trial: NCT00995878, clinicaltrials.gov)를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ayo Clinic과 Duke 대학에 서 시행되며 220명의 대상자를 모집 중으로 2015년 연구가 종료될 예정이며 증상 호전과 안전성에 대한 결과들을 분석할 계획이다.
아직까지 효과성 측면에서 우수함을 나타내는 근거의 수준이 현저히 불충분하므로 이에 대해 더 많은 수의 환 자를 대상으로 잘 설계된 RCT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1633-2000 비급여 RZ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