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tag>의학 fetal well being 태아 임신}} ======태아 안녕 (Fetal Well Being)====== {{page>:틀#성적건강}} {{page>:틀#의학}} =====양수===== [[med:amniotic_fluid|]] =====도플러===== 도플러를 이용한 탯줄 동맥의 S/D ratio가 많이 사용된다. 2.6이상이거나, 이완기 혈류가 없거나 역류할 때 불량한 주산기 예후를 예측할 수 있다. =====초음파 소견===== [[med:fetal_biometry]] 참조 ====태낭 (Gestational sac)==== {{med/g-sac_5_weeks.jpg?300x180|임신 5주 태낭..}} 태낭의 크기는 가로, 세로, 높이를 평균낸 길이로 측정한다. 태낭의 크기는 임신 주수와 비례하지만, 일단 태아가 보이기 시작하면 [[med:crown_rump_length|]] 를 측정하는 것이 태낭의 크기로 예측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 [[med:hcg|]]의 수치가 1000 mIU/mL 이상이면 G-sac이 보여야하며, 7,200이상이면 난황낭(Yolk sac), 10,800이상이면 배아가 확인되어야 한다. ====심박동 (Fetal Heart beat)==== 임신 5-6주에는 분당 **100**회 이상이며, 점점 증가하여 임신 9주 이후에는 140회 이상이다. 만약, 임신 7주 이후에 분당 **85**회 이하이면, 예후가 좋지 않다.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융모막하 출혈 (Subchorionic hematoma)==== 융모막이 융기된 형태로 보이고, 임신 전반기의 출혈과 동반될 수 있다. 적은 양의 출혈인 경우 임상적인 휴유증 없이 대부분 자연 소실된다. 임신 후반기에 생기는 [[med:placental_abruption|]]와 비슷한 기전으로 생긴다. {{med/subchorionic_hematoma_3.jpg?300x180|}} {{med/subchorionic_hematoma_2.jpg?300x180|}} {{med/subchorionic_hematoma_4.jpg?300x180|}} {{med/subchorionic_hematoma_1.jpg?300x180|}}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임신 (Pregnancy)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의학 (Medicine)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putty
venv
[macOS / Linux (bash/zsh 등)]
postgresql
bitvise_ssh_client
screen
허니미
만듦
고위험_산모
the_siren_s_deception
[그웨덴 농장]
wegovy
[운동 루틴 (주 4~5회 권장)]
labioplasty
[실제 사례]
cin
cervical_cancer
semen_analysis
[정자 향상을 위한 방법]
misuse_endixg
misuse_celestoneg2
misuse_celestoneg28
hysterosalpingography
[비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