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유산 [2015/07/16 21:18] – ↷ 링크가 옮기기 작업 때문에 적응했습니다 V_L | med:유산 [2025/05/10 04:17] (현재) – [예후] V_L | ||
---|---|---|---|
줄 1: | 줄 1: | ||
- | ====== 유산====== | + | {{tag> |
+ | ====== 유산(Abortion) | ||
{{page># | {{page># | ||
- | 유산(자연유산)은 살 수 없는(태아가 생존할 수 없거나 임신 20주 전에 태어난 경우) 모든 임신이다. 유산은 임신 중 언제 발생하느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유산은 알 수 있는 모든 임신의 약 15-20%에서 발생하며, | + | 유산(자연유산)은 살 수 없는(태아가 생존할 수 없거나 임신 20주 전에 태어난 경우) 모든 임신이다. 유산은 임신 중 언제 발생하느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유산은 알 수 있는 모든 임신의 약 **15-20%**에서 발생하며, |
일부 유산은 여성이 임신 사실을 알기 전에 발생한다. 수정된 난자의 약 15%는 난자가 자궁 벽에 착상될 기회를 갖기 전에 소실된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이런 형태의 유산을 확인하지 못한다. 임신의 또 다른 15%는 임신 8주 전에 소실된다. 일단 태아 심장 기능이 주워진 임신에서 발견되면, | 일부 유산은 여성이 임신 사실을 알기 전에 발생한다. 수정된 난자의 약 15%는 난자가 자궁 벽에 착상될 기회를 갖기 전에 소실된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이런 형태의 유산을 확인하지 못한다. 임신의 또 다른 15%는 임신 8주 전에 소실된다. 일단 태아 심장 기능이 주워진 임신에서 발견되면, | ||
줄 10: | 줄 11: | ||
+ | =====징후===== | ||
+ | |||
+ | ====태아심박동의 이상==== | ||
+ | 임신초기에 분당 90회 미만의 [[Fetal Bradycardia]]이 있는 경우 [[med: | ||
+ | 아기키(CRL)이 7mm이상인데도 질초음파검사에서 [[med: | ||
- | 유산(자연유산)은 임신 20주 전 임신의 | + | ====난황낭==== |
+ | 임신낭의 크기가 25mm이상인데 내부에 태아나 [[med: | ||
+ | 정상임신에서는 [[med: | ||
+ | =====분류===== | ||
+ | ====자연유산==== | ||
+ | [[med: | ||
====절박유산 ==== | ====절박유산 ==== | ||
이는 임신 전반기에 질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 초기에는 매우 흔하여 4~5 임신 당 1명 꼴로 생기며, 이중 약 반수가 유산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임신 주수가 지남에 따라 유산 가능성은 감소하게 된다. 질 출혈과 함께 복통이 있으면 예후가 좋지 않은데, 이러한 복통은 질 출혈이 있고 난 후 수시간에서 수일 후에 생기게 된다. 유산과 동반되는 통증은 배 앞 쪽에서 있으며, 주기적인 양상을 보이다. 절박유산이 있을 시 안정이 권장되나 안정이 유산을 반드시 예방하는 것은 아니며, 호르몬(프로게스테론)의 사용은 효과 있다는 증거는 없다. | 이는 임신 전반기에 질 출혈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임신 초기에는 매우 흔하여 4~5 임신 당 1명 꼴로 생기며, 이중 약 반수가 유산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임신 주수가 지남에 따라 유산 가능성은 감소하게 된다. 질 출혈과 함께 복통이 있으면 예후가 좋지 않은데, 이러한 복통은 질 출혈이 있고 난 후 수시간에서 수일 후에 생기게 된다. 유산과 동반되는 통증은 배 앞 쪽에서 있으며, 주기적인 양상을 보이다. 절박유산이 있을 시 안정이 권장되나 안정이 유산을 반드시 예방하는 것은 아니며, 호르몬(프로게스테론)의 사용은 효과 있다는 증거는 없다. | ||
줄 45: | 줄 56: | ||
- | 임신 1기(임신 3분기 중)에서 유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염색체 이상, 교원성 혈관질환(루푸스 같은), 당뇨, 황체기 결함, 감염 및 자궁의 선천성 기형이다. | + | 임신 1기(임신 3분기 중)에서 유산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염색체 이상(50%), 교원성 혈관질환(루푸스 같은), 당뇨, 황체기 결함, 감염 및 자궁의 선천성 기형이다. |
====염색체 이상==== | ====염색체 이상==== | ||
- | 염색체는 머리 색깔, 눈 색깔 및 우리의 전체적인 외모와 체격을 결정하는 모든 유전적 물질을 담고 있는 체내 모든 세포의 현미경적 성분이다. 이 염색체는 스스로 복제하고 발달 과정 중에 수 차례 분할하여 문내가 일어날 수 있는 수많은 지점이 있다. 일부 유전적 이상은 반복적인 실패를 경험하는 부부에서 좀더 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유전적 성향은 임신을 시도하기 전에 혈액 검사를 통해 선별될 수 있다. 임신 1기 유산의 태아 조직 반수는 비정상적인 염색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수는 임신 2기 유산에서는 20%로 떨어진다. 다른 말로 하면, 비정상적인 염색체는 임신 2기 유산보다 1기 유산에서 좀더 흔하다. 임신 1기 유산은 너무 흔해서 2번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본질적으로 | + | 유산의 50%이상이 염색체 이상에 의한다. |
+ | |||
+ | 염색체는 머리 색깔, 눈 색깔 및 우리의 전체적인 외모와 체격을 결정하는 모든 유전적 물질을 담고 있는 체내 모든 세포의 현미경적 성분이다. 이 염색체는 스스로 복제하고 발달 과정 중에 수 차례 분할하여 문내가 일어날 수 있는 수많은 지점이 있다. 일부 유전적 이상은 반복적인 실패를 경험하는 부부에서 좀더 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유전적 성향은 임신을 시도하기 전에 혈액 검사를 통해 선별될 수 있다. | ||
+ | |||
+ | |||
+ | 임신 1기 유산의 태아 조직 반수는 비정상적인 염색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수는 임신 2기 유산에서는 20%로 떨어진다. 다른 말로 하면, 비정상적인 염색체는 임신 2기 유산보다 1기 유산에서 좀더 흔하다. 임신 1기 유산은 너무 흔해서 2번 이상 발생하지 않으면 본질적으로 | ||
+ | |||
+ | 반면에, 임신 2기 유산은 좀더 생소하여 일회 발생 후에라도 평가의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유산의 원인은 명백히 임신 주기에 따라 다른 것으로 여겨진다. | ||
====교원성 혈관 질환==== | ====교원성 혈관 질환==== | ||
줄 68: | 줄 86: | ||
=====증상===== | =====증상===== | ||
- | |||
- | |||
'' | '' | ||
줄 125: | 줄 141: | ||
그래서, 3회 연속적인 유산이 있는 여성에게 다음의 검사가 고려된다. 태아에게 전해질 수 있는 부부의 염색체 이상을 규명하기 위해 혈액검사가 행해질 수 있다. 부부는 각각 완전 정상이지만 여전히 염색체 결함을 가지고 있어 결합될 때 배아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검사를 핵형분석이라고 부르고, 부부 모두에게 행해진다. 자궁난관조영은 자궁 이상을 규명할 수 있다. 항핵항체, | 그래서, 3회 연속적인 유산이 있는 여성에게 다음의 검사가 고려된다. 태아에게 전해질 수 있는 부부의 염색체 이상을 규명하기 위해 혈액검사가 행해질 수 있다. 부부는 각각 완전 정상이지만 여전히 염색체 결함을 가지고 있어 결합될 때 배아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런 형태의 검사를 핵형분석이라고 부르고, 부부 모두에게 행해진다. 자궁난관조영은 자궁 이상을 규명할 수 있다. 항핵항체, | ||
- | ===== 참 고 ===== | + | |
+ | |||
+ | [[유산_사산_휴가_기간|유산 후 근로기준법 상 휴가기간]] | ||
+ | |||
+ | ===== 참고 ===== | ||
줄 151: | 줄 171: | ||
- | {{ta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