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다음 판 | 이전 판 | ||
tech:xming [2014/03/18 17:37] – 바깥 편집 127.0.0.1 | tech:xming [2019/08/16 16:43] (현재) – 219.240.210.166 | ||
---|---|---|---|
줄 1: | 줄 1: | ||
+ | {{tag> | ||
======Xming====== | ======Xming====== | ||
- | {{xming.jpg}} | + | |
+ | Xming는 윈도우용 X Server로, 리눅스에서의 X Window처럼 MS-Windows에서도 X Window용 프로그램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화면 출력 서버이다. | ||
+ | 말이 좀 거창한다만 다중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 ||
- | Xming는 윈도우용 X Server로, 리눅스에서의 X Window처럼 | + | 또한, Windows XP가 Microsoft사에서 |
- | 말이 좀 거창합니다만 다중 유저 시스템인 리눅스는, | + | 이것은 마치 MS Windows에서 리눅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
- | + | ||
- | 또한, Windows XP가 Microsoft사에서 만든 OS이지만, | + | |
- | + | ||
- | 이것은 마치 MS Windows에서 리눅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 + | |
- | + | ||
- | X 서버로 X-Manager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X-Manager가 상용 프로그램이라면 Xming는 무료 프로그램입니다. 무료이지만 매우 훌륭하군요. | + | |
+ | X 서버로 X-Manager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X-Manager가 상용 프로그램이라면 Xming는 무료 프로그램이다. 무료이지만 매우 훌륭하다. | ||
=====Xming 설치 및 실행===== | =====Xming 설치 및 실행===== | ||
- | http:// | + | http:// |
- | Xming를 다운 받아 설치합니다. | + | Xming를 다운 받아 설치한다. |
- | Xming-fonts를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 + | Xming-fonts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
- | X-서버를 이용하여 리눅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번 해보시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 + | X-서버를 이용하여 리눅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한 번 해보시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아실 수 있다. |
- | 먼저 프로그램의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 + | 먼저 프로그램의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
+ | 이제 리눅스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겠다. 역시 텔넷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데, Xming는 프리웨어인 putty와 아주 찰떡궁합이다. | ||
- | 이제 리눅스 컴퓨터에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겠습니다. 역시 텔넷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데, Xming는 프리웨어인 putty와 아주 찰떡궁합입니다. | + | putty나 tutty에서 Tunnels 옵션에서 X11 forwarding항목 중 " |
- | + | ||
- | putty나 tutty에서 Tunnels 옵션에서 X11 forwarding항목 중 " | + | |
]$ gnome-calculatro & | ]$ gnome-calculatro & | ||
]# gnome-terminal & | ]# gnome-terminal & | ||
- | 그리고 이렇게 윈도즈에서 프로그램이 보이면 성공한 것입니다. ^^ | + | 그리고 이렇게 윈도즈에서 프로그램이 보이면 성공한 것이다. ^^ |
- | + | ||
- | + | ||
- | 이후로 putty와 마찬가지로, | + | |
+ | 이후로 putty와 마찬가지로, | ||
===== gnome-session===== | ===== gnome-session===== | ||
- | |||
바로 gnome-session 을 실행시킬 것이다.(로컬의 데스크탑 화면 처럼 보인다) | 바로 gnome-session 을 실행시킬 것이다.(로컬의 데스크탑 화면 처럼 보인다) | ||
원격지 서버의 IP 주소 / 아이디 / 암호 를 입력한다. | 원격지 서버의 IP 주소 / 아이디 / 암호 를 입력한다. | ||
(With compression 은 압축전송 관련 옵션같은데, | (With compression 은 압축전송 관련 옵션같은데, | ||
- | |||
Xming 옵션 없이 그냥하면 전체화면으로 떠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 Xming 옵션 없이 그냥하면 전체화면으로 떠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 ||
1024x768 처럼 원하는 해상도를 적어준다. (@1 포함 - 없으면 에러나는 듯함) | 1024x768 처럼 원하는 해상도를 적어준다. (@1 포함 - 없으면 에러나는 듯함) | ||
putty 옵션은 원격지 ssh 포트를 기본 22 번이 아닌 다른주소를 사용한다면 바꿔준다. | putty 옵션은 원격지 ssh 포트를 기본 22 번이 아닌 다른주소를 사용한다면 바꿔준다. | ||
- | |||
모두 마쳤다. Save configuration 으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config.xlaunch 을 클릭해서 바로 실행시키면 된다. | 모두 마쳤다. Save configuration 으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config.xlaunch 을 클릭해서 바로 실행시키면 된다. | ||
- | |||
사용해본 느낌. 예전에 Xmanager 같은 것으로 해본 기억이 있는데, 그 때는 좀 복잡하게 했던 것 같은데, 그보다 Xming 이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 사용해본 느낌. 예전에 Xmanager 같은 것으로 해본 기억이 있는데, 그 때는 좀 복잡하게 했던 것 같은데, 그보다 Xming 이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다. | ||
그런데, 일반 인터넷라인이라 그런가 느린 감이 있다. vnc 가 속도 하나는 짱이다. | 그런데, 일반 인터넷라인이라 그런가 느린 감이 있다. vnc 가 속도 하나는 짱이다. | ||
- | + | ||
- | ^ 로긴 후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문법은 [[wiki: | + | |
* 출처: [[http:// | * 출처: [[http://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