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54세에 6548만원 갖고 등떠밀려 은퇴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자산 관리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로 수년 내 자산 고갈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평균 은퇴 연령은 54.46세로 대체로 60∼65세에 현역에서 은퇴하는 선진국에 비해 5년 이상 빨랐다

또 권고사직이나 명예퇴직, 해고 등 ‘비자발적 퇴직’이 21.9%로 정년퇴직으로 인한 은퇴(24.5%) 못지않게 많았다. 준비되지 않은 은퇴가 많았다는 것이다

특히 50대들의 비자발적 은퇴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육체적으로 노인도 아니고 대부분 자식들이 결혼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상당한 부담을 느낄 나이인 탓이다. 국민연금은 60세 이후에나 받을 수 있어 돈 나올 데가 딱히 없다

다니던 직장을 그만둘 때 가장 먼저 현실로 다가오는 것이 ‘돈 문제’다

은퇴 당시 금융자산이 전혀 없는 사람이 전체의 11.5%에 이르렀다

퇴직금을 제외하고 은퇴 당시 보유한 금융자산은 평균 6548만 원이었고 조사 대상자의 48%는 5000만 원을 밑돌았다. 또 자가(自家)를 뺀 보유 부동산 시세는 은퇴 당시 평균 1억4267만 원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은퇴자들은 현재 보유 자산으로 앞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을 고작 평균 11.72년이라고 추정해 퇴직자산의 고갈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보유 자산으로 11.72년밖에 생활하지 못한다면 그 이후부터 자식에게 손을 벌리는 것 외엔 마땅한 대안이 없다는 얘기가 된다

다니던 회사가 연봉제를 실시해 은퇴할 때 퇴직금조차 없었다는 조모(55) 씨는 “저녁에 술 마시고 싶으면 혼자 캔맥주 사들고 PC방에 가서 새벽까지 앉아 있는다”고 말했다. 술집에선 안주를 시켜야 하지만 PC방은 한 시간에 1000원만 내면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퇴직 자산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채 은퇴하면 은퇴 이후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번 조사에서도 은퇴 전과 같은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돈은 월 200만∼250만 원이란 답변이 29.4%로 가장 많았지만 은퇴자들의 월수입은 평균 191만 원, 월 생활비는 평균 162만 원에 그쳤다. 월수입이 100만 원 이하인 은퇴자들도 27.2%나 됐다

대부분 기대치에 턱없이 못 미치는 은퇴생활을 하고 있다는 얘기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은퇴자들은 국가연금(국민연금) 기업연금(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체계적인 연금시스템에 힘입어 대체로 ‘노후생활’이 보장되는 편이다

반면 한국에서 연금 혜택을 보는 은퇴자는 많지 않다

1988년 시행된 국민연금제의 혜택을 보고 있는 수급자는 올해 2월 말 현재 201만 명으로 60세 이상 인구의 24.5%에 그친다. 평균 가입 기간이 7년 8개월밖에 되지 않아 1인당 평균 수급액도 월 19만4000원에 불과하다

지난해 도입된 퇴직연금제는 올해 2월 말 현재 퇴직연금제 전환 사업장이 1만7137개사로 5인 이상 사업장의 3.6%에 불과할 정도로 실적이 지지부진하다

부족한 은퇴자금도 문제지만 은퇴 이후 효율적인 자산관리의 부재 등 은퇴자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문제로 지적된다. 서울대의 은퇴자 조사에서 “재무상담을 받아 봤느냐”는 질문에 은퇴자의 90.1%는 “받지 않았다”고 했는데 절반가량(43.5%)이 ‘관심이 없어서’라고 답했다

한국투자자교육재단 박병우 사무국장은 “은퇴자들이 현재 보유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운용하기 위해선 은퇴자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투자자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 씨는 “영어 수학 과학 예체능 등 꼭 필요한 것 위주로 시키는데도 이 정도 든다”며 “최선을 다해 아이들 뒷바라지해야 한다는 생각에 저축이나 노후준비는 꿈도 못 꾸고 있다”고 털어놨다

‘교육비 부담’은 한국의 중장년층이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서울대 소비자아동학부의 은퇴자(503명) 심층조사에서도 은퇴 준비를 하지 못한 이유로 ‘자녀교육비와 결혼자금 때문에 여력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36%를 차지했다. ‘생활비 부담’(42.6%)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이다

교육비 중에서도 특히 사교육비 부담이 크다

최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07년판 통계연보에 따르면 2005년 기준으로 한국의 사교육비 지출액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2.9%로 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공교육과 사교육을 합친 교육비 전체 지출액은 7.5%를 차지해 2위였다

이에 반해 은퇴자 관리가 잘되는 나라로 꼽히는 네덜란드에서는 ‘사교육’이 없다. 대학은 지원만 하면 누구나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직업학교에 갈지, 대학에 진학할지만 본인이 선택하면 된다

암스테르담에서 재즈 공부를 하고 있는 서현수 씨는 “네덜란드에는 학원이 없기 때문에 사교육비 부담도 없다”고 말했다

네덜란드에서는 18세가 되면 대부분 독립하는데, 이들의 집세 학비는 물론 용돈까지 국가에서 주기 때문에 부모가 자식에게 돈 쓸 일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네덜란드인이 여유롭게 은퇴 준비를 할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