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 med:tese [2025/10/28 03:00] – [백막 봉합] V_L | med:tese [2025/10/28 03:02] (현재) – [백막 봉합] V_L | ||
|---|---|---|---|
| 줄 95: | 줄 95: | ||
| * 흡수성 봉합사(특히 polyglactin 계열)는 흡수 과정에서 조직 수축·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백막은 팽창-수축 균형이 중요한 구조라, **조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흡수성(monofilament nylon, polypropylene 등)** 을 선호함. | * 흡수성 봉합사(특히 polyglactin 계열)는 흡수 과정에서 조직 수축·염증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 백막은 팽창-수축 균형이 중요한 구조라, **조직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흡수성(monofilament nylon, polypropylene 등)** 을 선호함. | ||
| * 일부 환자는 추후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비흡수성 봉합사는 향후 수술 시 이전 절개선을 명확히 확인하게 해 준다 (의사에게 “흉터 라인” | * 일부 환자는 추후 재시술이 필요할 수 있다. 비흡수성 봉합사는 향후 수술 시 이전 절개선을 명확히 확인하게 해 준다 (의사에게 “흉터 라인” | ||
| + | * 단순 봉함(Simple Interrupted Suture)가 적합하다. 절개가 5mm이상인 경우 Mattress suture를 하기도 한다. | ||
| + | |||
| + | |||
| =====합병증===== | =====합병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