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med:scabies [2020/05/07 00:48] – [예방] V_L | med:scabies [2025/09/11 09:33]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141.101.84.174 | ||
---|---|---|---|
줄 25: | 줄 25: | ||
| | ||
- | 옴진드기는 [[성병|성접촉]]을 통하여 전염될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환자의 의복이나 이불을 통해서 전염이 된다. 또한 군대 등 집단 숙박시설이나 여관 등에서 전염이 되기도 한다. 전염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불과 내복 등을 삶거나 세탁하거나 일광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여건이 마땅치 않을 때에는 1주일 정도 방치해 뒀다가 사용해도 된다. | + | 옴진드기는 [[std|성접촉]]을 통하여 전염될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환자의 의복이나 이불을 통해서 전염이 된다. 또한 군대 등 집단 숙박시설이나 여관 등에서 전염이 되기도 한다. 전염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불과 내복 등을 삶거나 세탁하거나 일광소독을 하는 것이 좋다. 여건이 마땅치 않을 때에는 1주일 정도 방치해 뒀다가 사용해도 된다. |
요새는 집안에 애완용 개를 기르다가 개에게 기생하는 옴이 사람에게 옮기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잠복기가 짧아서 3~4일 안에 증세가 생기는 반면 사람의 옴보다는 증상이 가볍고 사람끼리 전염되지는 않는다. | 요새는 집안에 애완용 개를 기르다가 개에게 기생하는 옴이 사람에게 옮기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잠복기가 짧아서 3~4일 안에 증세가 생기는 반면 사람의 옴보다는 증상이 가볍고 사람끼리 전염되지는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