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ibd [2015/11/10 08:58] – V_L | med:ibd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줄 75: | 줄 76: | ||
| 염증성 장질환의 합병증은 장관 내 합병증과 장관외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다. | 염증성 장질환의 합병증은 장관 내 합병증과 장관외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다. | ||
| - | 장관내 합병증 | + | ====장관내 합병증==== | 
| 장관 폐쇄 또는 협착: | 장관 폐쇄 또는 협착: | ||
| 줄 89: | 줄 90: | ||
| 대장암: | 대장암: | ||
| - | 장관외 합병증 | + | ====장관외 합병증==== | 
|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만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전신의 모든 장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만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전신의 모든 장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
| 줄 103: | 줄 104: | ||
| 일부 장관외 증상은 장관 염증의 정도와 무관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장관 증상보다 오히려 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 일부 장관외 증상은 장관 염증의 정도와 무관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장관 증상보다 오히려 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 ||
| - | 신체 부위에 따른 장관 외 합병증의 종류 | + | ====신체 부위에 따른 장관 외 합병증의 종류==== | 
| - | 뼈 및 관절: | + |   * 뼈 및 관절: | 
| - | + |    | |
| - | 피부: | + |    | 
| - | + |    | |
| - | 눈: | + |    | 
| - | + | ||
| - | 간 및 담도: | + | |
| - | + | ||
| - | 신장: | + | |
| ===== 치 료 ===== | ===== 치 료 ===== | ||
| 줄 146: | 줄 143: | ||
| 스테로이드는 치료 효과가 탁월한 약이지만 오래 사용하면 수많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우선적으로 눈에 띠는 부작용으로는 | 스테로이드는 치료 효과가 탁월한 약이지만 오래 사용하면 수많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우선적으로 눈에 띠는 부작용으로는 | ||
| - | 얼굴이 달덩이처럼 둥그렇게 붓고 | + | * 얼굴이 달덩이처럼 둥그렇게 붓고 | 
| - | + |    | |
| - | 여드름이 나며 | + |    | 
| - | + |    | |
| - | 피부가 얇아지고 | + | |
| - | + | ||
| - | 얼굴과 몸에 잔털이 많이 생긴다. | + | |
| 그밖에 중요한 합병증으로는 | 그밖에 중요한 합병증으로는 | ||
| - | 골다공증 | + | * 골다공증 | 
| - | + |    | |
| - | 당뇨병 | + |    | 
| - | + |    | |
| - | 고혈압 | + |    | 
| - | + |    | |
| - | 정신증 | + | |
| - | + | ||
| - | 녹내장 | + | |
| - | + | ||
| - | 백내장 | + | |
| 등이 있다. | 등이 있다. | ||
| 줄 196: | 줄 185: | ||
| 영양요법에는 경정맥 영양요법과 장관 영양요법이 있다. | 영양요법에는 경정맥 영양요법과 장관 영양요법이 있다. | ||
| - | 경정맥 영양요법(흔히 TPN이라고 부름) : 금식을 하고 정맥 주사만으로 영양을 공급 | + | * 경정맥 영양요법(흔히 TPN이라고 부름) : 금식을 하고 정맥 주사만으로 영양을 공급 | 
| - | + |    | |
| - | 장관 영양요법 : 이미 소화 과정을 거친 성분식이(elemental diet)를 장관으로 공급 | + | |
| 성분식이는 경정맥 영양요법과 마찬가지로 소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장을 쉬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성분식이는 입으로 먹기도 하지만 맛이 없으므로 코를 통하여 가는 관을 위에 삽입한 후 이 관을 통하여 투여하기도 함. | 성분식이는 경정맥 영양요법과 마찬가지로 소화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장을 쉬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성분식이는 입으로 먹기도 하지만 맛이 없으므로 코를 통하여 가는 관을 위에 삽입한 후 이 관을 통하여 투여하기도 함. | ||
| 줄 238: | 줄 226: |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