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med:herpes_simplex [2024/01/03 03:48] – [신생아의 감염] V_L | med:herpes_simplex [2025/07/23 04:35]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V_L | ||
---|---|---|---|
줄 39: | 줄 39: | ||
=====단순포진 2형 (성기단순포진; | =====단순포진 2형 (성기단순포진; | ||
- | 단순포진 2형 (HSV 2형)에 감염되면 대개 **허리 이하** [[herpes_genitalis|성기]], [[herpes_buttock|둔부]]에 증세가 생기며 옮긴 후** 2일 내지 20일**만에 발병한다. [[성병|성접촉]]에 의하여 옮기는 경우가 대부사람이다. 처음 생긴 경우나 재발한 경우나 증상은 마찬가지인데 자잘한 물집, 소양증, 헐어서 아픈 증세, 열이 나거나 근육통, 소변시 따가운 증세 등이 나타날 수 있다. HSV 2형이 성기 외에 다른 부위에 생길수도 있다. | + | 단순포진 2형 (HSV 2형)에 감염되면 대개 **허리 이하** [[genital_herpes|성기]], [[herpes_buttock|둔부]]에 증세가 생기며 옮긴 후** 2일 내지 20일**만에 발병한다. [[성병|성접촉]]에 의하여 옮기는 경우가 대부사람이다. 처음 생긴 경우나 재발한 경우나 증상은 마찬가지인데 자잘한 물집, 소양증, 헐어서 아픈 증세, 열이 나거나 근육통, 소변시 따가운 증세 등이 나타날 수 있다. HSV 2형이 성기 외에 다른 부위에 생길수도 있다. |
HSV 1형과 마찬가지로, | HSV 1형과 마찬가지로, | ||
줄 75: | 줄 75: | ||
==== 신생아의 감염 ==== | ==== 신생아의 감염 ==== | ||
- | [[med:herpes_genitalis|성기포진]]이 있는 산모가 출산시 정상분만을 하다가 아기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수가 있다. 특히 신생아에게 1차 감염이 되는 경우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기포진을 앓은 적이 있는 산모는 담당의사에게 알려줘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 | [[med:genital_herpes|성기포진]]이 있는 산모가 출산시 정상분만을 하다가 아기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수가 있다. 특히 신생아에게 1차 감염이 되는 경우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기포진을 앓은 적이 있는 산모는 담당의사에게 알려줘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 | 남편이 [[med:herpes_genitalis|성기포진]]환자인 경우, 산모는 임신중에는 성접촉을 삼가야 한다, 특히 임신 말기에는 더욱 그렇다. 피치 못할 경우에는 [[med: | + | 남편이 [[med:genital_herpes|성기포진]]환자인 경우, 산모는 임신중에는 성접촉을 삼가야 한다, 특히 임신 말기에는 더욱 그렇다. 피치 못할 경우에는 [[med: |
분만시에 단순포진이 발병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모에게 특별한 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산모의 감염이 활동적이지 않을 때는 아기에게 위험성이 없다. | 분만시에 단순포진이 발병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모에게 특별한 조치를 할 필요가 없다. 산모의 감염이 활동적이지 않을 때는 아기에게 위험성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