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tech:node.js [2019/06/08 16:01] – [설치] V_Ltech:node.js [2025/03/07 07:07] (현재) – [node.js 설치] V_L
줄 1: 줄 1:
 {{tag>node.js}} {{tag>node.js}}
 ======Node.js====== ======Node.js======
-Node.js는 서버사이드 [[tech:javascript|자바스크립트]]이며 Googl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V8이 빌트인되어 있다. Event 기반이며 non-blocking I/O를 지원함. 자바스크립트의 표준라이브러리 프로젝트인 CommonJS의 모듈시스템을 지원함.+Node.js는 서버쪽 [[tech:javascript|자바스크립트]]이며 Google의 자바스크립트 엔진인 V8이 빌트인되어 있다. Event 기반이며 non-blocking I/O를 지원함. 자바스크립트의 표준라이브러리 프로젝트인 CommonJS의 모듈시스템을 지원함.
  
 Apache같은 웹서버들은 모든 요청마다 시스템 쓰레드를 생성하는 쓰레드 기반이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잘 동작하지만 Friendfeed나 Google Wave같은 리얼타임 애플리케이션처럼 많은 long-lived 커넥션을 사용하는 애클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고 확장(scale)하기가 어렵다. Apache같은 웹서버들은 모든 요청마다 시스템 쓰레드를 생성하는 쓰레드 기반이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잘 동작하지만 Friendfeed나 Google Wave같은 리얼타임 애플리케이션처럼 많은 long-lived 커넥션을 사용하는 애클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고 확장(scale)하기가 어렵다.
줄 10: 줄 10:
  
 =====설치===== =====설치=====
-최근 우분투에는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 있다.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보지.+최근 [[tech:우분투|]]에는 기본적으로 설치 되어 있다. 최신 버전으로 설치해보지.
  
 ====NPM 업뎃==== ====NPM 업뎃====
줄 23: 줄 23:
   sudo n stable   sudo n stable
  
 +node 설치 혹은 설치되어 있다면 최신 안정판으로 업데이트
 +
 +
 +<file>
 +n stable     // 안정 버전 설치
 +n latest      //  최신 버전 설치
 +n lts            // lts 버전 설치
 +n x.x.x        // 특정 버전 설치 ( x.x.x 버전 )
 +</file>
 ====확인==== ====확인====
  
줄 43: 줄 52:
  
 된다. 된다.
 +
 +=====Node 업데이트 하기 =====
 +NPM을 이용해서 Node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n패키지를 설치한다. 이 패키지를 이용해서 node 버전을 상호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방법은 아래의 단계와 같다.
 +
 + 
 +
 +
 +n 설치하기
 +
 +  npm install -g n
 +전역(global)으로 설치를 해야 Node 버전을 root에서 관리할 수 있다.
 +
 +새로운 버전의 Node 설치하기
 +  n lts
 +  n la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