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tech:money171 [2013/06/12 13:52] – V_L | tech:money171 [2016/07/12 00:56]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 =====늦게 시작했지만 부자로 은퇴하는 전략===== | ||
+ | |||
+ | |||
+ | |||
+ | 일상 생활의 경제적인 안정과 은퇴 후의 안락한 생활을 보장받기 위해 시작해야 할 재테크는 ' | ||
+ | |||
+ | |||
+ | |||
+ | 이에 대해 미국의 경제지 머니의 수석기자 조지 만네스는 최근 ' | ||
+ | |||
+ | |||
+ | |||
+ | 일단 본격적인 자산관리를 시작하기 전에 현재 자산포트폴리오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신의 나이와 위험에 대한 선호도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자산의 분산 대상은 한 곳 이상이기 때문에 자산계정 상으로 전체를 합산해서 포트폴리오의 전체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한다 | ||
+ | |||
+ | |||
+ | |||
+ | 직접하기 힘들다면 성능이 뛰어난 개인용 재무관리 프로그램(Quicken, | ||
+ | |||
+ | |||
+ | |||
+ | 자신의 재무상황을 파악했다면 목표하는 기대수익을 얻기 위해 포트폴리오 재구성 횟수를 얼마로 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여기에는 2가지 기본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 ||
+ | |||
+ | |||
+ | |||
+ | 먼저 현재 자산상황이 목표로 하는 자산분배 상황과 어느 정도 동떨어진 경우라면 포트폴리오를 자주 관찰하면서 투자 대상을 변경할 수 있다. 아니면 1년이나 3년, 5년 단위로 정기적으로 재조정해주면 된다. 물론 두 가지 전략을 적절히 함께 구사하는 편이 낫다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3년마다 재조정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투자가 수년동안 꾸준히 보다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 경우 문제는 투자성과는 없고 먼지만 날리는 경우 전혀 신경을 쓰지 않게 될지 모른다. 따라서 1년을 주기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면 기억하기도 쉽고 목표와 자산분산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다 | ||
+ | |||
+ | |||
+ | |||
+ | 본격적으로 자산운용점(트리거 포인트)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자산 항목 사이의 현금흐름의 횟수는 종종 적을 수록 성과가 크게 나온다. 게다가 단기간에 이익을 노리다가 손해를 볼 가능성은 물론 자산의 매매 거래에 드는 비용이 자산 포트폴리오 재조정의 성과를 좀먹을 수 있다. 따라서 5%(리스크가 큰 경우는 5% 미만)를 기준으로 자산의 재배분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현재 상태로 자산을 운영한다 | ||
+ | |||
+ | |||
+ | |||
+ | 자산투자 운용점을 잡아도 목표에 맞춰서 자산 포트폴리오 전체를 다시 설정할 필요는 없다. 특정 자산의 목표를 70%로 잡았을 경우 최적의 성과를 기대하려면 5%를 더한 75%에서 2.5%P를 낮춘 72.5%가 적당하다. 바로 보다 큰 위험을 안지 않고 세금과 금융비용을 낮추는 것이 핵심이다 | ||
+ | |||
+ | |||
+ | |||
+ | 비과세 혜택이 있거나 절세할 수 있는 자산을 중심으로 자금을 운용하고 자산배분의 목적을 위해 포트폴리오의 밑그림을 크게 가져가야 한다. 세금을 피해 갈 수 없으면 배당금, 이자 혹은 다른 새로운 수입원을 자산계정에서 가장 성과가 낮은 자산항목으로 편성하고 세금 폭탄을 맞지 않기 위해 손익의 균형을 맞추도록 한다 | ||
+ | |||
+ | |||
+ | |||
+ | 전체 포트폴리오는 퇴직연금이나 이상적인 자산분할과 리스크 선호도에 따라 라이프스타일 펀드에 투자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이런 종류의 통합펀드에 투자하려면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하며 그래야 본인이 직접하는 것보다 집중적으로 자주 관리를 할 수 있다 | ||
+ | |||
+ | |||
+ | |||
+ | 조지 만네스는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