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
lucky_jim_mine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잠행성 진균증====== {{tineaincognito2000-359.jpg}} **잠행성 진균증**은 선진 외국에서는 1년에 한 번도 보기 힘들 정도로 드문 병이지만, 우리나라의 피부과 외래에서는 여름철에 거의 매일같이 볼 수 있을 정도로 흔한 병입니다. 진균에 의하여 발생하는[[tinea|피부 진균증]]은 피부과 전문의가 보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특징적인 병변을 보여주기에 진단이 쉬운 편입니다. 그러나, 가끔 백선진균증)이 아닌 것으로 보이지만 검사를 해보면 진균곰팡이)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잠행성 진균증**이라고 말하며, 그 원인은 피부의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긴 탓으로 비정상적인 피부 반응을 나타내기 때문인데, 경구용 스테로이드 및 **스테로이드 성분이 포함된 각종 연고 ( 특히 [[misuse_multi1|종합 피부질환치료제]])**를 너무나 쉽게 구하고, [[misuse|오용, 남용]]하기 때문입니다. =====각종 연고를 사 바르다가 잠행성 진균증이 발생한 사례들===== * [[misuse_jemjem|젬젬]] * [[misuse_eczemadrug1|이름 모를 습진약]] * [[misuse_steroid3|습진 연고]] * [[misuse_celestone1|쎄레스톤]] * [[misuse_baromatil|바로마틸]] * [[misuse_eczemadrug1|습진약]] * [[misuse_steroid6|습진연고]] * [[misuse_buruna|부루나]] * [[misuse_myderm|마이덤]] * [[misuse_endixG|엔딕스-G]] * [[misuse_lavenda|라벤다]] * [[misuse_spector|스펙터]] * [[misuse_lidomex|리도멕스]] * [[misuse_cutivate1|큐티베이트]] * [[misuse_prednisolone1|프레드니솔론]] * [[misuse_cambison1|캄비손]] * [[misuse_seller|떠돌이 약장수]] * [[misuse_japanese2|일본에서 산 연고]] * [[misuse_alcrovan1|알크로반]] * [[misuse_celestoneG3|쎄레스톤-지]] * [[misuse_joje3|조제약]] * [[misuse_apoderm2|아포덤]] * [[misuse_cerant|쎄란트]] * [[misuse_madecassolcelestoneG|복합마데카솔과 쎄레스톤-지]] * [[misuse_tricort|트리코트]] * [[misuse_hiluna|하이루나]] * [[misuse_dermovatetricort|더모베이트, 트리코트]] * [[misuse_lacticareHC|락티케어 HC]] * [[misuse_dermovate6|더모베이트]] * [[misuse_multi5|종합피부약]] * [[misuse_trigenta|트리겐타]] * [[misuse_bebe1|베베]] * [[misuse_presol2|프레솔]] * [[misuse_silkron|실크론]] * [[misuse_celatica|세라티카마데카솔)]] * [[misuse_modaderm|모다덤복합제)]] * [[misuse_amolG2|아몰-지]] * [[misuse_locasalen|로카살렌]] * [[misuse_topical5|연고약명 미상)]] * [[misuse_tolloid|톨로이드]] * [[misuse_sterocin-G2|스테로신-지]] * [[misuse_dermatop8|더마톱]] * [[misuse_lavendern|라벤덤]] * [[misuse_chmaron|크마론]] * [[misuse_bosong|보송]] * [[misuse_serna|세르나]] * [[misuse_nobason|노바손]] * [[misuse_ecolonG3|에코론-지]] * [[misuse_SG|에스지]] * [[misuse_ultralan|울트라란]] * [[misuse_betagenG4|베타겐-G]] * [[misuse_demacotS2|데마코트에스]] * [[misuse_verosin|베로신]] * [[misuse_asada|아사다]] * [[misuse_esperson2|에스파손]] * [[misuse_serna2|세르나]] * [[misuse_dendri2|덴드리]] * [[misuse_preca2|프레카]] * [[misuse_dermasone3|더마손]] * [[misuse_plusG|프러스지]] * [[misuse_velodan|베로단]] * [[misuse_clobegenA5|크로베겐-A]] * [[misuse_silkronG|실크론G]] 선진국에서는 의사의 처방이 없이는 결코 구할 수 없는 각종 피부질환 연고들을 의사의 처방 없이 약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입니다. 약국에서 구입해서 바르다가 오는 연고들을 조사해보면, 병의 종류를 불문하고[[misuse_multi1|종합피부질환치료제]]를 주는 경우가 태반입니다. 종합피부질환제는 항생제, 항진균제 및 중등도의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것이 주종이며, 이런 연고를 바르면 대다수의 피부병이 병의 종류를 불문하고) 일단은 나아보이게 됩니다. 그래서 약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지요. 또한 가정에서도 상비약으로 연고 두 세 가지는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사의 진찰을 받기전에 자가처방으로 또는 약국에서 일단 연고부터 발라보니 일단은 증상이 좋아지는 것 처럼 보이지만, 재발이 자주 되거나 더 악화되는 일이 많을 뿐 아니라, 병변의 모양이 이상해져셔 의사의 진단에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또한, 장기간 연고를 바르다 보면[[stria|팽창선조]], [[telangiectasia|모세혈관확장]]등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할 뿐 아니라, 심한 경우는 **쿠싱 증후군** 등 전신적인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근래에 우리나라에도 **의약분업**제도가 도입되면서, 의약품 분류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였는데, [[misuse_fucidin1|항생제]]나[[misuse_acyclovir1|항바이러스제]], [[misuse_loprox1|항진균제]]등의 **바르는 약은 거의 다 일반의약품으로 분류**가 되었고, 가장 문제가 되는 스테로이드도 아주 강한 것이 아니면 거의 다 일반의약품으로 분류가 되어있어 도대체 왜 의약분업을 하는지 알 수가 없을 지경입니다. [[misuse]] [[skin]] {{tag> skin 피부질환}}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피부진균증 (Dermatophytoses)
빙초산을 한 번 바르고 씻어줬는데...
두드러기니까 약 달라고?
아몰지를 바르다가...2
아몰지 에이를 바르라고...3
소독하고 안티푸라민을 바르라고?
아포덤을 바르기만 하다가...
신경통으로 약을 먹다가...
관절약을 사먹다가...
아사다 크림과 새론 크림을 바르다가...
134개 더 보기...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의학 (Medicine)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putty
venv
[macOS / Linux (bash/zsh 등)]
postgresql
bitvise_ssh_client
screen
허니미
만듦
고위험_산모
the_siren_s_deception
[그웨덴 농장]
wegovy
[운동 루틴 (주 4~5회 권장)]
labioplasty
[실제 사례]
cin
cervical_cancer
semen_analysis
[정자 향상을 위한 방법]
misuse_endixg
misuse_celestoneg2
misuse_celestoneg28
hysterosalpingography
[비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