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spontaneous_abortion [2016/07/10 09:50] – 바깥 편집 127.0.0.1 | med:spontaneous_abortion [2022/07/09 04:17] (현재) – [원인] V_L | ||
|---|---|---|---|
| 줄 6: | 줄 6: | ||
| 대개 유산아의 체중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부분 500g 이하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1000g 이하) | 대개 유산아의 체중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대부분 500g 이하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1000g 이하) | ||
| - | 태아신장을 기준으로 할 때는 25cm 이하모자보건법시행령 제15조 (인공임신중절의 허용 한계) 임신한 날로부터 28주일 이내에 있는 자에 한하여 할 수 있다. | + | =====증상===== |
| 출혈, 복통이 주요 증상이다. | 출혈, 복통이 주요 증상이다. | ||
| - | 자연유산의 80% 이상은 임신 12주 이내에 발생 | + | =====원인===== |
| + | 초기임신에서 수정란이 자연배출되는 경우 | ||
| + | 대부분 배아(胚芽, | ||
| + | | ||
| + | |||
| + | 초기 이후의 임신에서는 대부분 생존된 태아가 배출된다. | ||
| + | | ||
| + | |||
| + | 자연유산의 80% 이상은 임신 12주 이내에 발생하며, | ||
| 임신 12주 이후에는 자연유산의 빈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 임신 12주 이후에는 자연유산의 빈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 ||
| + | |||
| + | 첫 번째 임신이 자연 유산된 경우 다음 임신도 유산되는 경우는 2.3%이고 세 번 연달아 자연 유산되는 경우는 0.34%임. [[habitual_abortion]] | ||
| **분만 횟수 및 부모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 **분만 횟수 및 부모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 ||
| 줄 20: | 줄 30: | ||
| 만삭분만 후 3개월이내에 재임신을 하였을 경우에도 유산의 빈도 증가 | 만삭분만 후 3개월이내에 재임신을 하였을 경우에도 유산의 빈도 증가 | ||
| - | 초기임신에서 수정란이 자연배출되는 경우 | + | 시진, 초음파검사, 호르몬 검사 |
| - | 대부분 배아(胚芽, embryo)또는 태아(胎兒, | + | |
| - | | + | |
| - | 초기 이후의 임신에서는 대부분 생존된 태아가 배출 | + | =====진행===== |
| - | | + | |
| 기저탈락막(decidua basalis) 내로 출혈혈부위의 주변조직 괴사, 유산으로 진행 | 기저탈락막(decidua basalis) 내로 출혈혈부위의 주변조직 괴사, 유산으로 진행 | ||
| 임신산물이 자궁내벽으로부터 유리... 자궁수축이 유발되고 결국 자궁밖으로 배출 | 임신산물이 자궁내벽으로부터 유리... 자궁수축이 유발되고 결국 자궁밖으로 배출 | ||
| - | |||
| - | 액체로 둘러 싸인 침연태아(macerated fetus)무태아란(blighted ovum) 등도 있다. | ||
| - | |||
| - | 혈성기태(blood mole) 또는 육상기태 (carneous mole) | ||
| - | |||
| - | | ||
| - | |||
| - | 압박된 태아(fetus compressus), | ||
| - | |||
| - | 시진, 초음파검사, | ||
| =====경과/ | =====경과/ | ||
| 줄 49: | 줄 46: | ||
| =====합병증===== | =====합병증===== | ||
| - | 감염 | + | * 감염 |
| - | + | | |
| - | 출혈 | + | |
| - | + | ||
| - | 잔류태반 | + | |
| =====치 료===== | =====치 료===== | ||
| - | 관찰 | + | * 관찰 |
| - | + | | |
| - | 소파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