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tag>homocysteine}} {{page>:틀#의학}} ======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 우리 몸에는 건축자재에 해당하는 벽돌과 같은 물질이 있다. 바로 메칠기(CH3-)다. 이를 이용해 매 순간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물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메칠기는 우리가 섭취하는 메치오닌(methionine)이라는 아미노산이 공급해 준다. 메치오닌에서 메칠기가 빠져나오면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으로 변한다. 호모시스테인이라는 아미노산은 [[엽산]]과 비타민B6와 비타민B12가 충분치 못할 때 생겨나는 나쁜 아미노산이다.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산화질소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을 방해하며 산화 작용을 연쇄적으로 일으켜 뇌신경절을 퇴화시켜 기억력을 상실시킨다. 또, 해마신경세포가 스스로 자살하도록 하고 뇌 단백질을 변질시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며 뼈를 약화시켜 골절을 유발한다. Homocysteine는 기준이 대략 4~15정도 호모시스테인은 혈액이 응고유발하여 혈전이 생기게 하고, 혈액이 혈관을 통해서 원활하게 흐르는 것을 방해해한다.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5씩 올라갈 때마다 심혈관계 질환, 기억력 감퇴, 우울증, 임신 중 문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2배로 뛴다는 보고가 있다. 뼈가 재생될 때는 뼈의 단백질 콜라겐이 꼬이면서 결합, 3차원적 입체 구조물을 질서있게 형성해 간다. 그러나 호모시스테인이 많으면 콜라겐이 잘못 꼬이게 된다. 따라서 골밀도가 정상인 사람도 호모시스테인의 혈중 농도에 비례해 골절률이 증가한다. 이 호모시스테인을 다시 메치오닌으로 재생시켜주는 것이 비타민B12와 엽산이다. 또 호모시스테인에서 메칠기를 하나 더 빼버리면 무독성인 아미노산 시스테인으로 변한다. 이 일은 비타민B6가 해준다. 따라서 엽산과 B12와 B6를 복용하면 호모시스테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엽산 (Folic acid)
습관성 유산 (Habitual Abortion)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의학 (Medicine)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에이치디엠
만듦
proxmox
[다크모드]
intel_nic_e1000e_hardware_unit_hang
[3단계: Offloading 기능 비활성화 (영구 적용)]
timed_intercourse
[매일?]
ovulation_induction
menopause
[검사]
male_factor
[Male Factor]
infertility
ivf
[시술과정]
amh
prolactin
putty
venv
[macOS / Linux (bash/zsh 등)]
postgresql
bitvise_ssh_client
screen
허니미
만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