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homocysteine [2021/06/07 01:58] V_Lmed:homocysteine [2025/05/19 07:49] (현재) – [호모시스테인 (Homocysteine)] V_L
줄 8: 줄 8:
  
  
-{{:med:homocysteine.jpg|}}+{{:med:homocysteine.jpg|}} (([[https://www.mdpi.com/1422-0067/21/4/1421/htm|출처]]))
  
-호모시스테인은 [[엽산]]과 비타민B6와 비타민B12가 충분하면, 세포에서 바로 제거된다. +호모시스테인은 [[엽산]]과 비타민B6와 [[med:비타민_b|비타민B12]]가 충분하면, 세포에서 바로 제거된다. 
  
 Homocysteine는 기준이 대략 4~15정도이다. Homocysteine는 기준이 대략 4~15정도이다.
줄 28: 줄 28:
  
  
-미국심장협회(AHA)는 과도한 호모시스테인이 혈관벽을 손상시키고 부적절한 혈전형성을 조장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호모시스테인과 동맥 경화증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또한 호모시스테인 양의 측정을 통해 심혈관계 질환과 말초 혈관 질환 위험, 뇌졸중 평가를 하는 것의 이점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여러 연구들에서 호모시스테인 의 대사에 필요한 엽산나 비타민B 보충제의 복용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 등의 이점은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미국심장협회(AHA)는 과도한 호모시스테인이 혈관벽을 손상시키고 부적절한 혈전형성을 조장하여 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호모시스테인과 동맥 경화증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또한 호모시스테인 양의 측정을 통해 심혈관계 질환과 말초 혈관 질환 위험, 뇌졸중 평가를 하는 것의 이점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여러 연구들에서 호모시스테인 의 대사에 필요한 엽산나 비타민B 보충제의 복용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 등의 이점은 없다고 보고하고 있다. 
 + 
 +=====치료===== 
 + 
 +보통 800–1,000 µg/day의 엽산 보충제를 1일 1회 섭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