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cin [2024/11/18 03:47] – [치료] V_L | med:cin [2025/07/15 01:55] (현재) – [진단] V_L | ||
---|---|---|---|
줄 4: | 줄 4: | ||
{{page>: | {{page>: | ||
- | 자궁경부암의 전 단계로써 이상세포가 상피층내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 경도, 중등도, 고도의 3단계로 분류하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또는 이형성(dysplasia)이라고 하는데 전 상피세포층이 미분화된 이상상피로 대치된 경우 상피내암(0기암)이라고 한다. | + | [[cervical_cancer|자궁경부암]]의 전 단계로써 이상세포가 상피층내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 경도, 중등도, 고도의 3단계로 분류하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또는 이형성(dysplasia)이라고 하는데 전 상피세포층이 미분화된 이상상피로 대치된 경우 상피내암(0기암)이라고 한다. |
상피내종양은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거나 자연치유될 수 있으며 그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도 있는데,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치료하게 되면 더이상 침윤성 암으로 발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을 자궁경부암의 조기발견, | 상피내종양은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거나 자연치유될 수 있으며 그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도 있는데,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치료하게 되면 더이상 침윤성 암으로 발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을 자궁경부암의 조기발견, | ||
줄 21: | 줄 21: | ||
이형성증은 증상이 없다. 대개 자궁경부 도말검사를 통해 진단된다. 비정상 세포가 발견되면 질 확대경 검사를 통해 비정상 부위를 확대해 보고 비정상 부위의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 이형성증은 증상이 없다. 대개 자궁경부 도말검사를 통해 진단된다. 비정상 세포가 발견되면 질 확대경 검사를 통해 비정상 부위를 확대해 보고 비정상 부위의 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 ||
+ | |||
=====치료===== |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