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amh [2022/07/14 15:48] – [피임약] V_Lmed:amh [2024/01/29 09:07] (현재) – [변화] V_L
줄 23: 줄 23:
   * 이러한 후보군의 양은 primordial follicles (microscopic follicles in "deep sleep") 의 수에 비례한다.   * 이러한 후보군의 양은 primordial follicles (microscopic follicles in "deep sleep") 의 수에 비례한다.
   * 그러므로 AMH의 혈중농도는 **난소가 난자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 (ovarian reserve)**을 반영한다.   * 그러므로 AMH의 혈중농도는 **난소가 난자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 (ovarian reserve)**을 반영한다.
 +
 +수치가 낮다면, 임신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 **임신을 시도할 수 있는 기간이 적게 남아있다**고 해석하면 된다.
 +
 +
  
  
줄 29: 줄 34:
  
 {{:med:follicle-growth_ovulation.jpg|}} {{:med:follicle-growth_ovulation.jpg|}}
 +
 +^나이^중앙값^
 +|40 - 44|0.88 ng/ml|
 +
 +
 + The median AMH levels were 26.61 pmol/L for those aged 20–25 years, 20.89 pmol/L for 26–30 years, 19.92 pmol/L for 31–35 years, 13.71 pmol/L for 36–40 years, 9.24 pmol/L for 41–45 years, and 0.68 pmol/L for 46–50 years. The recommended 2.5th to 97.5th percentiles of AMH level, as reference ranges for various age groups, were found to be: 10.63–55.64 pmol/L (20–25 years), 3.74–61.88 pmol/L (26–30 years), 5.49–47.56 pmol/L (31–35 years), 2.15–48.91 pmol/L (36–40 years), 0.92–41.26 pmol/L (41–45 years), and 0.14–5.10 pmol/L (46–50 years).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354694/ Omani women ))
  
 {{:med:anti-mullerian_hormone_0128143201v_l.png}} {{:med:anti-mullerian_hormone_0128143201v_l.png}}
줄 74: 줄 85:
 다만, 난소기능의 변화가 의심되어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래의 경우에는 **연 2회** 추가 인정함. 다만, 난소기능의 변화가 의심되어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래의 경우에는 **연 2회** 추가 인정함.
  
-  * 1) 난소수술 전, 후 +   난소수술 전, 후 
-  * 2)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전, 후 +   -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전, 후 
-  * 3) 난소과자극에 대한 난소의 반응이 감소한 경우+   -  난소과자극에 대한 난소의 반응이 감소한 경우
  
 (고시 제2019-250호, 2019.12.1.적용)(([[http://m.hira.or.kr/mobile/rf/iac/eva/data.do?openDT=20191201&seqNO=3&matrSeqNo=1&sdate=&edate=&rnum=|출처]])) (고시 제2019-250호, 2019.12.1.적용)(([[http://m.hira.or.kr/mobile/rf/iac/eva/data.do?openDT=20191201&seqNO=3&matrSeqNo=1&sdate=&edate=&rnum=|출처]]))
줄 84: 줄 95:
  
 ====피임약==== ====피임약====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과 [[med:흡연|흡연]]이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 [[http://www.ncbi.nlm.nih.gov/pubmed/24821925|Broer SL, Broekmans FJ, Laven JS, Fauser BC (2014). "Anti-Müllerian hormone: ovarian reserve testing and its potential clinical implications". Human Reproduction Update 20 (5): 688–701. doi:10.1093/humupd/dmu020. PMID 24821925]]))+
  
   * 피임약 복용중, 임신중에는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 피임약 복용중, 임신중에는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  * 피임약 중단 후 2-3개월 후가 정확하다. +  * 피임약 중단 후 2-3개월 후가 정확하다. 
 +  *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과 [[med:흡연|흡연]]이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 [[http://www.ncbi.nlm.nih.gov/pubmed/24821925|Broer SL, Broekmans FJ, Laven JS, Fauser BC (2014). "Anti-Müllerian hormone: ovarian reserve testing and its potential clinical implications". Human Reproduction Update 20 (5): 688–701. doi:10.1093/humupd/dmu020. PMID 24821925]])) 
 +====흡연==== 
 + 
 +흡연시 수치가 감소한다. 
 ====비타민 D==== ====비타민 D====
-[[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http://press.endocrine.org/doi/full/10.1210/jc.2012-1213?view=long&pmid=22508713|AMH measurements may be less accurate if the person being measured is vitamin D deficient]]))+[[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 ((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al studies revealed that vitamin D supplementations affect serum AMH levels but have opposite effects depending on the ovulatory statuses of the women. It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ovulatory non-PCOS women, while it decreased AMH levels in PCOS women.[[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2921/|출처]]))
  
-AMH 검사시 Vitamin D  도 같이 검사.+AMH 검사시 [[med:비타민_d|]]도 같이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