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game:fallout:p.a.m [2024/04/04 13:11] – 제거됨 - 바깥 편집 (Unknown date) 127.0.0.1game:fallout:p.a.m [2024/04/04 13:11] (현재) – ↷ 문서가 game:폴아웃:p.a.m에서 game:fallout:p.a.m(으)로 이동되었습니다 V_L
줄 1: 줄 1:
 +{{tag>폴아웃4 인물 fallout p.a.m}}
 +{{page>틀:폴아웃}}
 +====== P.A.M.(Predictive Analytic Machine) ======
 +{{p.a.m.jpg}}
 +
 +[[레일로드_본부]]에서 볼 수 있는 로봇. 전쟁전 복잡한 전쟁 시뮬레이션을 위해 개발됨.
 +전쟁 직전  [[어썰트론]]을 개조한 움직일 수 있는 몸통을 받음.
 +
 +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를 계산해내는 것이다. 국방정보국이 전쟁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만든 프로젝트 중 하나다. DIA 기지를 방문할 때 연구개발부서의 터미널에서 관련 자료를 확인 가능한데, P.A.M. 을 동원해서 중국이 미국에 비해 스텔스 기술이 월등함을 추론하고, 심지어는 중국이 잠수함 정도의 크기의 물체에 대한 스텔스가 가능할 가능성도 점친다!
 +
 +플레이어의 존재는 예상치 못한 변수이고 미래를 계산할수가 없다고 하며 
 +플레이어를 독립 변수 (Rogue variable) 이라고 부른다. [[레일로드]] 퀘스트에서도 맹활약하여 인스티튜트로 순간이동을 할 장치를 건설하는 최적의 위치도 계산하여 주는데 꼭 여기에 지을 필요는 없긴 하다. 
 +
 +플레이어가 [[인스티튜트]]에 위장잠입을 하고 있을 때 (인스티튜트 최초 입장 이후 주 팩션을 정하지 않았을 때) 사냥개 (Courser) 를 죽이는 임무를 주는데 플레이어가 그러면 내 위장이 날아가지않냐며 물으면 목격자를 모조리 죽여버리면 가능성은 1% 언저리로 굉장히 낮으며 사냥개를 죽이는 임무의 중요성은 그정도의 작은 위험보다는 훨씬 높다고 말한다.
 +
 +반대로 레일로드를 적대하는 루트로 가면 팸을 해킹하여 기능을 못하게 완전히 포맷해버린다. 아니면 그냥 쏴 죽여버릴수도 있다.
 +
 +전쟁 전의 미국 국방정보국 (DIA, Defense Intelligence Agency)
 +이 커먼웰스의 건물 곳곳에 저장해 둔 DIA Cache를 찾는 [[Jackpot missions]]이라는 이름의 반복 임무를 준다. 특이하게도 여러 다른 루팅과는 달리 문따기나 터미널로는 절대로 접할 수가 없으며 오직 P.A.M.이 주는 RFID칩만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 RFID칩을 가지고 정해진 위치로 가면 아무것도 없는 벽이 열리면서 숨겨진 루팅이 나타난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