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을 못 가리는 아이들 - 기능성 유분증

대변을 못 가리는 아이들 (기능성 유분증)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소변 가리기에 대한 일반적 지식을 먼저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이 글을 읽기 전에대소변 가리기에 대한 글을 먼저 읽어볼 것을 권한다.

기능성 유분증이란?

의학적으로는 대변이나 소변을 가리는 행동에 문제가 있으면 배설 장애(elimination disorder)라고 하는데, 대변을 가리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를 기능성 유분증(functional encopresis)이라고 한다. 기본적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유분증의 1/4 내지 1/3에서유뇨증과 동반된다. 유뇨증보다는 심리적인 문제가 더 심각하고 사회적응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 4세 무렵 아동의 약 5%, 7-8세 아동의 1.5%에서 이런 경우가 있다. 대략적으로 만 5세 이후의 아동에서 약 1%정도가 나타난다고 본다.
  • 남아에서 3-4배 정도가 많다. 7-8세 남아의 1.5%, 여아의 0.5%에서, 그리고 10-12세 남아의 1.3%, 여아의 0.3%에서 유분증이 있다.
  • 대개의 유분증 아동은 변을 보지 않아서 변비가 생기고, 그 결과 일어나는 활발한 장운동 때문에 통증을 느낀다. 이 통증 때문에 더욱 대변을 보지 않게 되어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진단 기준 DSM-IV

  • 본의 아니게 또는 고의적으로 대변을 적절하지 못한 장소(옷, 방 또는 복도 등)에 반복적으로 싸는 경우
  • 이런 행동이 한달에 한번 이상씩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연령(또는 발달수준)이 적어도 만 4세 이상
  • 이러한 행동이 약물(설사약 등)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하며, 또한 변비를 제외한 다른 내과적인 질환이 없어야 한다.

종류

  • 일차성 : 제대로 대변을 가렸던 적이 없는 상태로 전체의 50% 정도가 해당된다.
  • 이차성 : 과거에 대변을 가렸던 기간이 최소한 일년이상 경과된 경우를 말한다. 부모의 이혼,동생의 출생, 입학 등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연관된다.

원인

대개 생리적인 요인과 심리적인 요인이 서로 상호작용해서 발생한다.

  • 체질 : 개인에 따라서 장의 활동이 다르다. 장의 운동성이 낮은 경우 대변이 정체되기 쉽다.
  • 기질 : 신체적인 신호에 부주의한 아이들은 다른 활동에 몰두하느라 실수할 가능성이 높다. (기질)
  • 부적절한 대소변 가리기 훈련 : 아이들의 자율성을 지나치게 억압하고 부모의 주장을 강요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 통증 : 변을 보는 과정에서 고통을 경험한 경우 참고 있다가 실수하기 쉽다.
  • 스트레스 : 새로운 학교, 캠핑 등 낯선 환경에서는 참다가 실수하는 아이들이 많다.
  • 약물 : 질병을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중 일부는 장의 운동을 감소시킨다.

감별해주어야 할 상태

  • 만성 변비의 원인 질환 : 갑상선 기능저하 등
  • 선천성 신경절 결여성 거대결장증 (Hirschsprung's disease), 항문파열, 직장 협착증
  • 근육조절 능력의 이상 : 뇌성마비, 척추신경 이상 등
  • 성 학대와 같은 심한 충격 여부

후유증

대개는 냄새 때문에 또래에게 놀림을 당하거나, 실수 자체에 대해 부모에게 혼나는 것 때문에 위축되거나 화장실에 가는 것 자체를 두려워하는 등의 심리적 후유증이 발생한다. 낮은 자존심도 문제다. 부모나 교사가 조기에 개입해서 도와주어야 한다.

예방

  • 일부 아이들은 적절하게 공격적 충동이나 감정을 배출하지 못하는 것과 연관되어 유분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그때 그때 건설적으로 표현하고 배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날마다 일정 시간에 배변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킨다.
  • 규칙적인 식사 습관이 중요하다. 골고루 먹도록 지도하되, 섬유질이 많은 야채와 과일을 권장한다. 물을 충분히 마시도록 해준다.
  • 지나치게 엄격한 대소변가리기 훈련은 피하고, 변은 더럽고 혐오스러운 것이라는 태도가 아이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노력한다.

부모의 대책

  •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될 만한 사건이나 환경을 잘 살펴보고 해결 가능한 부분은 조치한다.
  • 아이에게 창피를 주거나 체벌을 해서는 안된다.
  • 일단 심한 변비를 일으키는 대장이나 항문에 질병이 있는지에 대해 진료를 받는다. 또는 대변을 가리는데 관여하는 신경발달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 변비 치료 : 변비 예방을 위해 섬유질이 많은 음식과 충분한 물을 먹도록 한다. 우유 섭취를 줄인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변비약을 쓰거나 관장을 시행한다.
  • 대소변 가리는 훈련 자체가 안되었거나 일관성이 없었던 경우, 혹은 너무 이른 나이에 훈련을 시킨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부모의 강압적인 태도 때문에 문제가 심각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아이에게 긴장을 줄여주고 실수를 하더라도 처벌은 피하자. 배변은 부모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하는 것임을 명심한다.
  • 대소변 가리기 훈련 : 식사 직후 약 5-10분씩 변기에 앉아서 대변을 보도록 지도한다. 마냥 앉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배변을 하는 근육을 훈련시키는 것이다. 좌변기라면 아이의 발이 닿는 발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성공하면 칭찬을 하고 상을 준다. 스티커를 활용할 수도 있다. 더럽혀진 속옷을 감추는 행동에 대해서는 스스로 속옷을 빨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활동을 금지하는 방식으로 가벼운 벌을 준다.
  •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개선이 없다면, 그리고 반항적인 행동의 하나로서 유분증이 나타난다면 전문의에게 진료의뢰한다. 약물치료나 심리치료, 부모상담 등이 시행된다.

치료 경과

원인, 증상의 기간, 그리고 동반되는 행동 문제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경과를 보일 수 있다. 대개 치료를 받으면 수주만에 호전되기 시작해서 2-3개월 안에 없어진다, 가족문제가 심각하거나 부모-자녀관계에 이상이 있으면 장기화될 수도 있다.

참고문헌

  • 신경정신의학: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일조각 1997
  •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Pediatrics: Parker S & Zuckerman B, Little Brown 1995
  • How to help children with common problems: Schaefer CE & Millman HL, Litton Education Publishing, Inc 1994
  • Psychiatric Secrets : Jacobson JL & Jacobson AM, Hanley & Belfus 1996
  • Your Child - What every parent needs to know :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8

기능성 유뇨증

역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