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tech:proxmox [2022/11/22 16:35] – V_L | tech:proxmox [2025/07/07 06:54] (현재) – [다크모드] V_L | ||
|---|---|---|---|
| 줄 47: | 줄 47: | ||
| Update를 하려면 기본 설정된 subsription Repository를 다른 저장소로 변경한다. | Update를 하려면 기본 설정된 subsription Repository를 다른 저장소로 변경한다. | ||
| - | | + | |
| - | > #엔터프라이즈 소스는 | + | 엔터프라이즈 소스는 |
| - | > #deb https:// | + | '' |
| - | nano / | ||
| - | > #공짜용 (buster는 자신의 데비안에 맞게 변경) | ||
| - | > deb http:// | ||
| - | |||
| - | apt-get update && apt-get dist-upgrade | ||
| - | |||
| - | 로 업데이트 | ||
| 컨테이너 템플릿 업데이트 | 컨테이너 템플릿 업데이트 | ||
| 줄 104: | 줄 97: | ||
| - [[Portainer]] 설치 | - [[Portainer]] 설치 | ||
| - | | + | 도커 웹관리를 위해 Portainer 설치 |
| docker run -d --restart=always -p 9000:9000 -v / | docker run -d --restart=always -p 9000:9000 -v / | ||
| - | 웹관리자 접속 | + | 웹관리자 접속 |
| 줄 139: | 줄 132: | ||
| ===Cache=== | ===Cache=== | ||
| * No cache(Default): | * No cache(Default): | ||
| - | * Write back: | + | * Writeback: |
| ===Network=== | ===Network=== | ||
| 줄 166: | 줄 159: | ||
| - | > ls -l / | + | |
| 확인 | 확인 | ||
| - | > # ls -l / | + | |
| - | > lrwxrwxrwx 1 root root 9 Sep 18 22:33 ata-WDC_WD20PURZ-85GU6Y0_WD-WCC4M2TTJU88 -> ../../sde | + | lrwxrwxrwx 1 root root 9 Sep 18 22:33 ata-WDC_WD20PURZ-85GU6Y0_WD-WCC4M2TTJU88 -> ../../sde |
| 이제 qm 명령어로 해당 가상머신에 하드디스크를 할당한다. VM 번호를 알아야함. | 이제 qm 명령어로 해당 가상머신에 하드디스크를 할당한다. VM 번호를 알아야함. | ||
| 줄 179: | 줄 172: | ||
| qm set 106 -sata1 / | qm set 106 -sata1 / | ||
| qm set 105 -sata0 / | qm set 105 -sata0 / | ||
| - | qm set 105 -sata1 / | + | qm set 112 -sata1 / |
| - | qm set 105 -sata2 / | + | qm set 112 -sata2 / |
| + | qm set 112 -sata3 / | ||
| + | qm set 112 -sata4 / | ||
| + | qm set 112 -sata3 / | ||
| 해당 가상머신 재시작. | 해당 가상머신 재시작. | ||
| 줄 230: | 줄 226: | ||
| - | ====다크모드==== | + | |
| - | + | ||
| - | https:// | + | |
| - | + | ||
| ====SSD wearout ==== | ====SSD wearout ==== | ||
| 줄 242: | 줄 234: | ||
| 간단하게 USB등에 설치하는 Vmware의 [[EsXi]] 와는 다르게 Proxmox는 반드시 하드디스크에 설치해서 사용하는게 유리함. | 간단하게 USB등에 설치하는 Vmware의 [[EsXi]] 와는 다르게 Proxmox는 반드시 하드디스크에 설치해서 사용하는게 유리함. | ||
| - | 가상머신(VM) 자체는, 따로 SSD를 설치해서 구동하도록 한다. (([[https:// | + | 속도가 필요한 |
| - | HA같은 경우 SSD는 클러스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명보호를 위해 아예 끄는 것이 좋다 (주의가 필요) | + | HA(High availablity)같은 경우 SSD는 클러스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수명보호를 위해 아예 끄는 것이 좋다 (주의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