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기
내용으로 건너뛰기
추적
문서의 이전 판을 선택했습니다!
저장하면 이 자료로 새 판을 만듭니다.
미디어 파일
{{tag>고사성어 중국}} 중국고사성어 ====== 불혹(不惑)====== 不:아니 불. 惑:미혹할 혹. 미혹(迷惑)하지 아니함. 나이 마흔 살의 일컬음. 공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논어》〈위정편(爲政篇)에서 이렇게 말했다. <file> 吾十有五而志于學 (志學) 나는 열 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 三十而立(而立) 서른 살 때 입신했다. 四十不惑(不惑) 마흔 살 때는 미혹하지 않고 五十而知天命(知命) 쉰 살 때 하늘의 명을 알았다. 六十而耳順(耳順) 예순 살 때는 귀에 따랐고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從心)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해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file> [주] 20세 : 약관(弱冠),60세 : 환갑(還甲). 70세 : [[고희|고희(古稀)]],77세 : 희수(喜壽), 88세 : 미수(米壽),99세 : 백수(白壽) 《禮記》《曲禮上篇》에서 공자는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생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사람이 태어나 열살이 되면 어린이(幼)라 하여 배워야 한다. 스무살이 되면 약(弱)이라 하여 성인식을 해야 한다. 서른이 되면 장(壯)이라 하여 아내를 맞이하고 마흔살이 되면 강(强)이라 하여 벼슬에 나아간다. 쉰이 되면 애(艾)라 하여 정치에 참여하고 예순살이 되면 기(耆)라 하여 사람에게 지시하여 일을 한다. 일흔살이 되면 노(老)라 하여 집안의 모든 것을 자식에게 물려 준다. 그리고 여든살, 아흔살이 되면 모라 한다. 일곱 살은 애처롭다는 뜻으로 도(悼)라 하는데, 도와 모의 나이는 죄를 짓더라도 형벌을 가하지 않는다. 그리고 백살은 기(期)라 하여 부양을 받는다. [출전]《論語》〈爲政篇〉
2+1?
이 필드는 비어 있도록 유지하세요:
저장
미리 보기
취소
편집 요약
참고: 이 문서를 편집하면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하는 데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연결문서
고사성어 (Idioms)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연결문서
맨 위로
다크 모드로 보기
☀️
Toggle Menu
기술
너두 고쳐두 됩니다.
사이트 도구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
사용자 도구
등록
로긴
최근 수정된 문서
php
[safe mode 를 사용하라]
semen_analysis
[고온 환경 피하기]
complex_regional_pain_syndrome
dj_java_decompiler
[자바 디컴파일러 (Dj Java Decompiler)]
std02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preca4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misuse_nobason6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herpes_simplex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임신_중_음부포진_감염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외음부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genital_herpes
연성하감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섹스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예방_치료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성병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herpes_genitalis
↷ 문서 이름이 med:herpes_genitalis에서 med:genital_herpes(으)로 바뀌었습니다
css_폰트_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