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tremor [2014/02/12 06:37] V_Lmed:tremor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줄 1: 줄 1:
 +{{tag>의학 tremor}}
 +======떨림, 수전증 (Tremor)======
 +
 +
 +떨림은 불수의적, 규칙적인 몸의 근육의 움직임 현상을 말한다. 
 +
 +일반적으로 몸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뇌의 부분에 문제가 있을 경우 발생한다. 
 +
 +일반적으로 손에서 많이 보인다. 
 + 
 +수전증은 손에서 발생하는 일종의 근육 경련현상이다.
 + 
 +수전증은 손의 근육이 신경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받아 반응하며 동작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 감정상태나 불안 및 육체적인 피로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서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는 떨림, 수전증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수전증 현상은 시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증상이 심해졌다가 다시 완화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 
 +
 + 
 + 
 +=====원인 및 증상=====
 + 
 +
 + 
 +수전증은 근육과 운동신경계, 감각신경계, 중추신경계의 협력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증상으로 과정이 단순하지 않다.
 + 
 +정서적으로 긴장을 하거나 흥분을 했을때 근육의 긴장도가 올라가고
 +떨리는 현상을 볼 수 있듯 자율신경계에도 관련이 있는 부사람이다.
 + 
 +수전증의 원인으로는 카페인과 같은 성분을 섭취했을 때와
 +알코올등의 중독과 금단증상으로 근육운동 조절에 문내가 생겨 발생하게 된다.
 +
 +대부분 알코올 중독에 의한 수전증으로 많이 생각하지만
 +본태성 수전증이나 파킨슨 병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가 더욱 흔한다.
 + 
 +대부분 손이 떨리는 증상이 일어나지만
 +드물게는 머리, 혀, 입술 등 몸 전체에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종류=====
 +
 +본태성 진전의 특징은 손에 힘을 줄 때에 더 심해지고,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술을 마시면 증상이 약해지는 것이다. 반대로 파킨슨 병에서의 손떨림은 힘을 빼고 있을 때에 더 심해진다. 본태성 진전 그 자체는 건강에 큰 해가 없다. 
 +
 +
 +
 +====본태성 수전증====
 + 
 +본태성수전증은 절반이상이 가족력이 원인이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병하지만 주로 노인 분들에게서 발생하기 때문에
 +노인성 수전증이라고도 불러요. 가만히 있을 때 보다는 손으로 무언가
 +하려고 할 때 특히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 
 + 
 + 
 +====강조된 생리적 수전증====
 + 
 +정상인들 사이에서도 생길 수 있는 수전증이 어떤 원인으로 그 폭이
 +커진 수전증을 말한다. 보통 공포나 배고픔, 운동, 긴장 등으로 발생하며
 +일부 갑상선항진증 환자나 저혈당 환자에게도 많이 보이는 증상이다.
 + 
 + 
 +====소뇌성 수전증====
 + 
 +불규칙적인 손떨림이 일시적으로 생기는 증상으로 평소 문제없던 행동이
 +어렵게 된다. 우리뇌의 소뇌와 관련된 신경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것이
 +원인이다. 심하면 몸 전체 중심을 잡기 어려워 지기도 한다.
 + 
 + 
 +====파킨슨씨병 수전증====
 + 
 +이 수전증은 파킨슨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길항근의 교차와
 +수축이 원인으로 **가만히 있을 때** 수전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안정 시 진전'이라고 부릅니다.
 + 
 +=====진단=====
 +
 +떨림의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저혈당 등의 이차적인 요인이 있는지를 혈액검사를 통해서 구별할 수 있다. 또, 진전 분석(tremor recording)이라는 신경생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전의 원인이 중추신경계의 이상에 인한 것인지, 항진된 생리적 진전인지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세한 진찰을 통하여 파킨슨병으로 인한 진전을 구분할 수 있다. 
 +
 +===== 치료=====
 +
 +대부분의 떨림증상에는 완치가 없다. 
 +
 +정확한 진단 후에 적절한 치료가 가능하다.
 + 
 +카페인과 같은 유발 인자를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
 +====본태성 진전====
 +
 +b-차단제 (propranolol, nadolol, primidone)
 +항경련제
 +
 +====파킨슨병====
 +파킨슨병에 의한 진전은 약물투여를 통하여 증세를 현저히 호전시킬 수 있다.
 +
 +levodopa and/or dopamine 계열 약물을 사용한다. eg pramipexole, ropinirole, amantadine hydrochloride 
 +
 +
 +으며 증상이 심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뇌심부자극술이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소뇌형====
 +
 +약물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
 +====강조된 생리적 수전증====
 +
 +Enhanced physiologic tremor
 +
 +원인을 치료하면 대개 자연 소실된다. 
 +항진된 생리적 진전은 원인이 되는 약물의 중단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당등의 이차적인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치료가 될 수 있고, 
 +
 +증상 환화를 위해 b-blocker를 쓸 수 있다. 
 +
 +====dystonic tremor====
 +
 +clonazepam, Botulinum toxin
 +
 +
 +====수술====
 +약물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 되지 않을 경우에는 수술이 고려될 수 있다.
 +
 +수술을 통한 수전증 치료에서는 뇌의 시상핵 부위를 자극하거나
 +병변을 만드는 시상핵 고주파 응고술, 시상핵파괴술 등의 시술이 진행된다.
 + 
 +
 + 
 +===== 예방=====
 + 
 + 
 +수전증은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경우도 있기때문에
 +평소에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커피, 우울증치료제, 항정신성약물, 리튬 등은 수전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 
 +카페인이 함유된 커피, 홍차 등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규칙적인 생활 및 식습관을 가지는 것이
 +수전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