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schizophrenia [2022/04/27 12:45] V_Lmed:schizophrenia [2022/04/27 12:55] (현재) V_L
줄 17: 줄 17:
  
 =====증상===== =====증상=====
 +병이 본격화되기 전에 전구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하지만, 조현병에만 나타나는 특이 증상은 없다. 따라서 정신상태 검사만으로 조현병으로 확진하면 안되며 다양한 내과적 질환과 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감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병이 본격화되기 전에 전구증상이 먼저 나타난다. 전구증상에는 자신에 몸에 무엇인가 이상이 있다는 막연한 건강염려증상, 자신의 몸이나 주변의 세상이 동떨어져 있는 비현실적인 느낌, 평상시에는 관심이 없던 철학적 종교적 주제에 대한 집착 등이 있을 수 있고 집중력이 저하되고 긴장, 불안 등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이 병이 주로 청소년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흔히 보이는 정상적인 감정적 변화(emotional turmoil)와 전구증상이 혼동이 되어 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하는데 장애가 된다. 될 수 있는 데로 이러한 전구증상이 보이면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을 하는 것이 꼭 필요함. 병이 본격화되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난다. 
  
-전혀 근거가 없는 엉뚱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을 망상이라고 함. 망상은 환각과 함께 조현병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임.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신과 연관시켜 개인적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관계 망상, 나를 감시하고 있다거나 누군가가 나를 조종한다고 느끼는 피해 망상, 과대망상, 내가 구세주이거나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고 하는 종교 망상이 자주 나타난다. 망상은 합리적인 설득이나 논쟁으로 쉽게 교정되지 않는다.+전구증상에는 자신에 몸에 무엇인가 이상이 있다는 막연한 건강염려증상, 자신의 몸이나 주변의 세상이 동떨어져 있는 비현실적인 느낌, 평상시에는 관심이 없던 철학적 종교적 주제에 대한 집착 등이 있을 수 있고 집중력이 저하되고 긴장, 불안 등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이 병이 주로 청소년기에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흔히 보이는 정상적인 감정적 변화(emotional turmoil)와 전구증상이 혼동이 되어 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를 하는데 장애가 된다. 될 수 있는 데로 이러한 전구증상이 보이면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을 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 
 +병이 본격화되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나타난다. 
 + 
 +====망상==== 
 +전혀 근거가 없는 엉뚱한 믿음을 갖고 있는 것을 망상이라고 함. 망상은 환각과 함께 조현병의 가장 자주 보이는 증상임.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자신과 연관시켜 개인적인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관계 망상, 나를 감시하고 있다거나 누군가가 나를 조종한다고 느끼는 피해 망상, 과대망상, 내가 구세주이거나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고 하는 종교 망상이 자주 나타난다. 망상은 합리적인 설득이나 논쟁으로 쉽게 교정되지 않는다. 
 + 
 +====환각==== 
 +환각의 가장 흔한 것은 환청인데 2명 이상의 사람이 환자의 삶이나 행동에 대해 이야기하는 식의 내용을 가진다.
  
-진단은   열거한 증상들이 6 개월 이상 지속되고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으면 정신분열증으로 진단하게 된다. 
  
 ====사고의 장애==== ====사고의 장애====
줄 45: 줄 52:
 의욕이 저하되어 아무 일도 하려 들지 않고 대인관계도 하지 않고 혼자서 지내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말을 하지 않는 등의 거부적인 행동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기괴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의욕이 저하되어 아무 일도 하려 들지 않고 대인관계도 하지 않고 혼자서 지내는 경우가 많고 때로는 말을 하지 않는 등의 거부적인 행동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기괴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   
-=====경과===== 
  
- 개인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조기에 병을 발견하여 적절한 항정신병 약물 등의 치료를 하면 놀라울 만큼 기능이 회복되고 치료반응이 좋다. 그렇지만 약을 먹지 않으면 **재발의 위험성이 높아**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데 환자나 가족들은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이 정신질환에 걸려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부정(denial)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투약을 거부하는데 이렇게 되면 재발을 하게 되고 그 사람의 인격마저도 황폐화되는 심각한 지경이 되기도 함. 일반적으로는 75% 정도에서 치료에 호전을 보이고 25% 정도에서 거의 완쾌되고 25%의 경우에는 회복이 되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겪게 된다. +====예시====
- +
-=====치료===== +
- 우선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한데 특히 환청과 망상 등의 사고의 장애에 효과적임. 일반적으로는 처음 발병을 한 경우에는 1년 이상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여야 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병의 부정, 부작용 등)로 약을 중단하게 되면 재발되는 경우가 흔하고 이렇게 재발을 하게 되면 약을 복용해야만 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반드시 약물 중단은 정신과 전문의와 상의한 후 결정하여야만 함. +
- +
-약물치료와 더불어 정신치료를 함께 해주는 것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환자와 치료자가 공감하고 이해하는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환자의 현실감을 회복시키고 환자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해 주는 것이 필요함. +
- +
-또한, 가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데 환자 뿐만 아니라 가족들도 질병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증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 +
- +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경우에는 정신재활치료가 필요한데 낮병원이나 직업훈련을 통해 사회기술훈련을 받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 함.+
  
 다음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보이는 **음성증상**의 예들이다. 다음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보이는 **음성증상**의 예들이다.
줄 73: 줄 69:
   * 19세 된 대학교 1학년에 다니는 한 남자환자는 도서관에서 한 자리에 앉아 지속적으로 공부를 못해낸다. 그는 집중이 되지 않으며 항상 피로를 느낀다고 말한다. 그는 또 매사에 의욕을 보이지 않으며 스스로 어떤일을 시작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는 매사에 즐거움을 못느끼는 듯이 보인다.   * 19세 된 대학교 1학년에 다니는 한 남자환자는 도서관에서 한 자리에 앉아 지속적으로 공부를 못해낸다. 그는 집중이 되지 않으며 항상 피로를 느낀다고 말한다. 그는 또 매사에 의욕을 보이지 않으며 스스로 어떤일을 시작하려고 하지 않는다. 그는 매사에 즐거움을 못느끼는 듯이 보인다.
  
 +=====진단=====
 +정신상태 검사만으로 조현병으로 확진하면 안되며 다양한 내과적 질환과 타 정신과 질환에 대한 감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진단은 열거한 증상들이 6 개월 이상 지속되고 사회적, 직업적 기능에 현저한 장애가 있으면 정신분열증으로 진단하게 된다.
 +
 +=====경과=====
 +
 + 개인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조기에 병을 발견하여 적절한 항정신병 약물 등의 치료를 하면 놀라울 만큼 기능이 회복되고 치료반응이 좋다. 그렇지만 약을 먹지 않으면 **재발의 위험성이 높아**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데 환자나 가족들은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이 정신질환에 걸려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려 들지 않고 부정(denial)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투약을 거부하는데 이렇게 되면 재발을 하게 되고 그 사람의 인격마저도 황폐화되는 심각한 지경이 되기도 함. 일반적으로는 75% 정도에서 치료에 호전을 보이고 25% 정도에서 거의 완쾌되고 25%의 경우에는 회복이 되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겪게 된다.
 +
 +=====치료=====
 + 우선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한데 특히 환청과 망상 등의 사고의 장애에 효과적임. 일반적으로는 처음 발병을 한 경우에는 1년 이상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여야 하는데 여러 가지 이유(병의 부정, 부작용 등)로 약을 중단하게 되면 재발되는 경우가 흔하고 이렇게 재발을 하게 되면 약을 복용해야만 하는 기간이 길어지므로 반드시 약물 중단은 정신과 전문의와 상의한 후 결정하여야만 함.
 +
 +약물치료와 더불어 정신치료를 함께 해주는 것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환자와 치료자가 공감하고 이해하는 치료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환자의 현실감을 회복시키고 환자의 문제해결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해 주는 것이 필요함.
 +
 +또한, 가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데 환자 뿐만 아니라 가족들도 질병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증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함.
 +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의 경우에는 정신재활치료가 필요한데 낮병원이나 직업훈련을 통해 사회기술훈련을 받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해야 함.
 +
 +=====경과=====
  
 +조현병으로 첫 입원 치료 후 5년에서 10년 추적 관찰한 연구들의 결과를 보면 10~20% 정도의 환자들이 좋은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있다. 절반 정도의 환자는 결과가 좋지 않아 반복적인 입원, 증상의 악화, 우울 삽화의 경험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모든 조현병 환자가 좋지 않은 경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20~30%의 환자들은 어느 정도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