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preterm_labor [2020/04/17 04:12] – V_L | med:preterm_labor [2023/04/04 01:20] (현재) – V_L | ||
---|---|---|---|
줄 32: | 줄 32: | ||
조기 진통 억제 치료가 결정되면 입원 후 안정 상태에서 전자 태아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자궁 수축의 정도와 태아 상태를 확인한다. 33주 이전에는 최대한 자궁에서 태아를 하루 하루 더 성장하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조산으로 인한 위험성을 최대한 방지하려고 노력한다. | 조기 진통 억제 치료가 결정되면 입원 후 안정 상태에서 전자 태아 감시 장치를 이용하여 자궁 수축의 정도와 태아 상태를 확인한다. 33주 이전에는 최대한 자궁에서 태아를 하루 하루 더 성장하도록 유지시킴으로써 조산으로 인한 위험성을 최대한 방지하려고 노력한다. | ||
+ | |||
+ | 34주 이전에 향후 7일이내에 조산이 예상 되는 경우 [[Antenatal Corticosteroid|태아의 폐성숙을 위해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
+ | |||
+ | |||
====안정==== | ====안정==== | ||
줄 43: | 줄 47: | ||
===리토드린 (Ritodrine hydrochloride ; Yutopar) -=== | ===리토드린 (Ritodrine hydrochloride ; Yutopar) -=== | ||
+ | |||
+ | [[med: | ||
> beta adrenergic agonist | > beta adrenergic agonist | ||
줄 67: | 줄 73: | ||
* 선천성 혹은 후천적 심장질환, | * 선천성 혹은 후천적 심장질환, | ||
* 기존 약제(리토드린 제제) 사용 후 심계항진, | * 기존 약제(리토드린 제제) 사용 후 심계항진, | ||
+ | |||
+ | |||
+ | ※ 1주기 : 연속적인 3단계용법으로 투여시간은 48시간을 넘지 않음 | ||
+ | |||
+ | |||
===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 ===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