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postterm_pregnancy [2015/02/14 10:17] – 192.168.0.1 | med:postterm_pregnancy [2017/03/20 18:09] (현재) – [위험성] V_L | ||
---|---|---|---|
줄 1: | 줄 1: | ||
+ | {{tag> | ||
======지연 임신 (Postterm Pregnancy)====== | ======지연 임신 (Postterm Pregnancy)====== | ||
- | {{page>틀: | + | {{page>:틀#성적건강}} |
- | {{page>틀:의학}} | + | {{page>:틀#의학}} |
줄 13: | 줄 14: | ||
1. 태아측 위험성 | 1. 태아측 위험성 | ||
- | - 사산, 태변 흡인 등 주산기 사망률 증가 | + | - 사산, 태변 흡인 등 [[주산기 사망률]] 증가 |
- | - 거대아 발생으로 인한 오랜 진통, 아두골반 불균형, 견갑 난산 등 우려 | + | - 거대아 발생으로 인한 오랜 진통, 아두골반 불균형, |
- 양수 과소증이 동반되어 진통 중 제대 압박으로 인한 태아 심박동 이상 및 제왕절개 수술률 증가 | - 양수 과소증이 동반되어 진통 중 제대 압박으로 인한 태아 심박동 이상 및 제왕절개 수술률 증가 | ||
줄 29: | 줄 30: | ||
분만 예정일 이후 임신이 지속되는 경우 임신 41주부터 일주일에 2회 산전 태아 감시를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최근에는 **임신 41주**까지 진통이 없는 경우 유도 분만을 선택하는 병원도 많다. | 분만 예정일 이후 임신이 지속되는 경우 임신 41주부터 일주일에 2회 산전 태아 감시를 시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최근에는 **임신 41주**까지 진통이 없는 경우 유도 분만을 선택하는 병원도 많다. | ||
- | {{ta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