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ovulation_induction [2025/08/25 06:44] V_Lmed:ovulation_induction [2025/08/25 14:18] (현재) 172.71.114.120
줄 1: 줄 1:
 {{tag>ovulation induction}} {{tag>ovulation induction}}
-{{page>:틀#성적건강}}+{{page>:틀#ㅅㅇㄴㅅㆍㅅㆍㅅ}}
 {{page>:틀#의학}} {{page>:틀#의학}}
  
  
-======배란유도 (Ovulation Induction)====== +=====니엄마===== 
- +근ㅍㆍㅂ느븐보쿠븐극ㆍ
-  +
-배란유도는 배란장애가 있는 난소요인 [[Infertility|난임]]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여 배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
- +
-(참고로, [[controlled_ovarian_hyperstimulation]]는 시험관아기와 배아이식 시술을 위해 난자를 채취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배란을 유도하는 과정을 말한다) +
- +
-생리 시작 2-5일 차에 배란 유도제를 +
-복용하거나 주사를 통해 배란유도를 진행하며 +
-복용 4-5일 후 초음파를 통해 난포의 성장을 +
-관찰하여 부부관계를 가질 날짜를 정함. +
- +
-(([[https://e-enm.org/upload/pdf/44502643.pdf|참고]])) +
 =====적응증===== =====적응증=====
  
-  * [[med:anovulatory_cycle|무배란]] +  * [[병신|ㅡㅡㅡ]] 
-  * 희소배란 +  * 희소배란ㆍㄴㅂㄴㆍㅂㄴ 
-  * [[med:luteal_phase_defect|황체기능 장애]] +  * [[me난자배출ㄴㅎㆍㅎㆍㅎㆍ늣ㆍㅅㄴㅂㆍㅂㆍㄴㅂㆍㅂㄴㆍㅂㄴㆍㅂㆍㅂㆍㄴㅂㆍㅂefect|황체기능 장애]] 
-  * 난자배출장애 ([[med:luteinized_unruptured_follicle|]]) +  * 난자배출ㄴㅎㆍㅎㆍㅎㆍ늣ㆍㅅ장애 ([[med:luteinized_unruptured_follicle|]]) 
  
 =====성공률===== =====성공률=====
줄 102: 줄 90:
 하지만, 자궁, 자궁경부, 질 에는 에스트로겐의 반대작용을 하게 된다. 하지만, 자궁, 자궁경부, 질 에는 에스트로겐의 반대작용을 하게 된다.
  
-=====숙제 날잡기(계획된 관계; Timed coitus)===== 
- 
- 
-  * 약을 먹고 월경 10 일째 부터 배란 소변 키트로 LH호르몬을 체크한다. 
-  * 혹은 (배란소변 키트 사용이 귀찮으면) 월경 제 10일째 부터 18일째 까지 이틀에 한번씩 부부관계를 갖게 된다. 
-  * 클로미펜 투여 후 5일-12일 사이에 배란이 일어나므로 마지막 투여 후 5일 후 부터 2일마다 일주일간 부부관계를 하도록한다.  
-  * hCG를 추가할 경우 ( 10000IU IM) 시기는 다음과 같고, 투여 **당일**과 **2일 후**에 [[Timed intercourse|잠자리]]를 한다. 
-    * 마지막 약 복용 후 7일째 혹은 
-    * 초음파에서 최대 난포의 평균직경이 18-20mm 혹은 
-    * 혈중 E2 농도에 따라  
- 
- 
-배란 5일전부터 2-3mm/day의 속도로 자란다. 
- 
- 
-배란전 난포의 최대직경이 약 18-24mm  
 ===부작용=== ===부작용===
 부작용은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10% 가까이 되며, 유산의 확률도 약간 늘어난다. 약이 난소를 자극하여 생기는 난소의 낭은 골반의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다. 기타 클로미펜 치료의 부작용에는 안면홍조, 기분의 변화, 우울증, 오심, 유방 압통 등이 있다. 기분의 변화는 갑작스러우며 치료를 지속하는 동안 내내 심할 수 있다. 또한 황체기 부전이 일어날 수 있다. 부작용은 쌍둥이를 낳을 확률이 10% 가까이 되며, 유산의 확률도 약간 늘어난다. 약이 난소를 자극하여 생기는 난소의 낭은 골반의 불편감을 일으킬 수 있다. 기타 클로미펜 치료의 부작용에는 안면홍조, 기분의 변화, 우울증, 오심, 유방 압통 등이 있다. 기분의 변화는 갑작스러우며 치료를 지속하는 동안 내내 심할 수 있다. 또한 황체기 부전이 일어날 수 있다.
줄 246: 줄 218:
   * 난자 채취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 과배란된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합병증이 있을 수 있는데, 초음파감시하에 질식으로 흡인바늘을 이용한 난자 채취 시 출혈, 감염, 장이나 방광 및 혈관의 손상 등이 있을 수 있다.   * 난자 채취시술과 연관된 부작용 - 과배란된 난소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합병증이 있을 수 있는데, 초음파감시하에 질식으로 흡인바늘을 이용한 난자 채취 시 출혈, 감염, 장이나 방광 및 혈관의 손상 등이 있을 수 있다.
    
 +
 +=====숙제 날잡기(계획된 관계; Timed coitus)=====
 +
 +
 +  * 약을 먹고 월경 10 일째 부터 배란 소변 키트로 LH호르몬을 체크한다.
 +  * 혹은 (배란소변 키트 사용이 귀찮으면) 월경 제 10일째 부터 18일째 까지 이틀에 한번씩 부부관계를 갖게 된다.
 +  * 클로미펜 투여 후 5일-12일 사이에 배란이 일어나므로 마지막 투여 후 5일 후 부터 2일마다 일주일간 부부관계를 하도록한다. 
 +  * hCG를 추가할 경우 ( 10000IU IM) 시기는 다음과 같고, 투여 **당일**과 **2일 후**에 [[Timed intercourse|잠자리]]를 한다. (('36시간'이라는 특정 시간을 콕 집어주기보다는 "오늘, 모레 숙제하세요" 또는 "오늘, 내일 숙제하세요"라고 안내하는 경우가 많은데, 부부에게 특정 시간을 엄수하라는 것은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마지막 약 복용 후 7일째 혹은
 +    * 초음파에서 최대 난포의 평균직경이 18-20mm 혹은
 +    * 혈중 E2 농도에 따라 
 +
 +
 +배란 5일전부터 2-3mm/day의 속도로 자란다.
 +배란전 난포의 최대직경이 약 18-24mm.
 +
 +=====착상 보조 약물=====
 +배란유도(Ovulation Induction, OI) + 계획된 관계(Timed Coitus, TC) 후
 +착상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보조 약물을 쓰는 경우가 있다. 다만 이는 꼭 표준치료라기보다는 환자의 상황(배란 여부, 황체 기능, 과거 유산력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
 +국내외 가이드라인(대한산부인과학회, ESHRE, ASRM 권고)
 +
 +  * 일반적인 배란유도 + 계획된관계(OI+TC) 에서는 프로게스테론 보충은 필수적이지 않음.
 +  - 황체기 결함(Luteal Phase Defect, LPD) 의심 시 (배란 후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낮거나 황체기 길이가 10일 미만인 경우)
 +  - 배란유도제 사용 후 배란은 되었으나 내막이 얇을 때 (특히, 클로미펜은 내막 얇아짐을 유발할 수 있어, 착상률을 보완하려고 프로게스테론을 주는 경우가 있음)
 +  - 과거 반복 유산(Recurrent pregnancy loss)이나 반복 착상 실패 경험이 있는 경우
 +  - 주사 배란유도(hCG trigger) 후 황체가 불안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특히 과배란 자극 시 (예: gonadotropin 사용), hCG 트리거가 황체 기능을 충분히 유지하지 못할 수 있어 프로게스테론 보충, hCG trigger만으로는 luteal phase support 부족)
 +  
 +====황체홀몬 ====
 +루틴하게 모든 OI+TC 환자에게 주지는 않음.
 +황체기 부족, 반복 유산 등 고위험군에서 주로 사용.
 +너무 일찍(배란 전) 시작하면 배란 억제 위험 있으므로 반드시 [[ovulation|배란]] 이후부터 투여.
 +
 +  * 시작: 배란일 + 2일째부터 프로게스테론 투여 시작함. 예) 질 프로게스테론 (예: Utrogestan 200mg 1일 2~3회)
 +  * 지속: 배란 후 12일~14일 (즉, 임신 테스트 시점)까지는 유지
 +  * 임신 시: 임신이 확인되면: 임신 8주 ~ 10주까지 지속
 +
 +====아스피린====
 +  * 혈류를 개선하고 자궁내막의 착상 환경을 돕는 목적
 +  * 주로 반복 유산이나 면역·혈전성 질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