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med:neural_tube_defect [2022/04/21 10:47] – [고위험군] V_Lmed:neural_tube_defect [2023/10/25 17:54] (현재) V_L
줄 15: 줄 15:
 =====원인===== =====원인=====
  
-신경관결손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과학자들은 유전적, 환경적, 영양학적 요인이 있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신경관결손 환자의 약 95%가 이러한 질환의 가족력을 갖고 있지 않는다. 산모에서 당뇨병이 그렇듯, 발프로익산과 같은 일부 간질 치료제가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태시 산모가 충분한 [[med:엽산]]을 갖고 있다면 이 위험도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신경관결손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과학자들은 유전적, 환경적, 영양학적 요인이 있다고 믿고 있다. 하지만 신경관결손 환자의 약 95%가 이러한 질환의 가족력을 갖고 있지 않는다. 산모에서 [[med:diabetes_mellitus|당뇨병]]이 그렇듯, 발프로익산과 같은 일부 간질 치료제가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태시 산모가 충분한 [[med:엽산]]을 갖고 있다면 이 위험도가 감소할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
  
    
- 
 1992년에 임신 초기에 [[med:엽산]]을 복용하면 신경관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로는 이분 척추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1992년에 임신 초기에 [[med:엽산]]을 복용하면 신경관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로는 이분 척추가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
 +[[med:diabetes_mellitus|당뇨병]]을 가진 엄마의 태아에서 신경관 결손증의 발생률이 증가한다.
  
 {{:med:neural_tube_development.jpg?300|}} {{:med:neural_tube_development.jpg?300|}}
줄 58: 줄 59:
 엄마의 혈액에서 알파태아단백으로 검사했을 때 개방성 [[med:neural_tube_defect|]]을 발견률은 80-90%이다. 엄마의 혈액에서 알파태아단백으로 검사했을 때 개방성 [[med:neural_tube_defect|]]을 발견률은 80-90%이다.
  
-당뇨병을 가진 엄마의 태아에서 신경관 결손증의 발생률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