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intrauterine_insemination [2025/04/28 07:43] – [유트로게스탄] V_L | med:intrauterine_insemination [2025/09/20 02:41] (현재) – [시기] V_L | ||
---|---|---|---|
줄 16: | 줄 16: | ||
- 등 | - 등 | ||
+ | =====조건===== | ||
* 정상 자궁내막 | * 정상 자궁내막 | ||
- | * 최소 일측난관이 정상 | + | * 최소 일측난관이 정상 |
- | * 필요 | + | |
=====임신에 유리한 점===== | =====임신에 유리한 점===== | ||
* 정자처리로 정자의 질향상 | * 정자처리로 정자의 질향상 | ||
* 정확한 배란시기에 시도 | * 정확한 배란시기에 시도 | ||
- | * 다수의 난자를 사용하여 | + | * 다수의 난자를 사용 |
임신 확률을 올린다. | 임신 확률을 올린다. | ||
줄 30: | 줄 30: | ||
* 소변검사에서 LH surge 확인 후 다음날 | * 소변검사에서 LH surge 확인 후 다음날 | ||
* hCG injection 후 36~40시간 | * hCG injection 후 36~40시간 | ||
- | * 아침에 주사 맞고 다음날 저녁. 혹은 | + | * 아침에 주사 맞고 다음날 저녁, 혹은 |
* 오후 5시에 주사맞고 2일 후 아침 9시 | * 오후 5시에 주사맞고 2일 후 아침 9시 | ||
* 두 번 할 경우 hCG 주사 후 18시간 42시간 | * 두 번 할 경우 hCG 주사 후 18시간 42시간 | ||
줄 45: | 줄 45: | ||
필수는 아니다. | 필수는 아니다. | ||
- | 질정제나 경구용이 선호됨 (주사는 환자가 힘들어). ((근육투여와 질식투여를 비교한 연구를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식투여와 경구투여를 비교한 메타분석에서도 두 투여형태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 | 질정제, 경구제, 근육주사제, 피하주사제가 있다. ((근육투여와 질식투여를 비교한 연구를 보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식투여와 경구투여를 비교한 메타분석에서도 두 투여형태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 경구용 두가지 다 효과 비슷함. | * 경구용 두가지 다 효과 비슷함. | ||
- | * 경구용 유트로게스탄 300mg/d | + | * 경구용 |
* 듀파스톤 10mg bid | * 듀파스톤 10mg bid | ||
황체기 보강은 시작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통상 hCG 투여 5일 이내에는 시작한다. | 황체기 보강은 시작시기가 정해지지 않았지만 통상 hCG 투여 5일 이내에는 시작한다. | ||
+ | |||
+ | 경구용은 두통, 위장장애 등의 부작용이 있다. | ||
==== 유트로게스탄==== | ==== 유트로게스탄==== | ||
1일 200 ~ 300 mg을 2회로 분할하여 아침 100 mg, 취침시 100 ~ 200 mg을 경구투여한다. | 1일 200 ~ 300 mg을 2회로 분할하여 아침 100 mg, 취침시 100 ~ 200 mg을 경구투여한다. | ||
줄 60: | 줄 62: | ||
대개 임신 8~9주까지는 지속한다. | 대개 임신 8~9주까지는 지속한다. | ||
+ | |||
+ | ==== 프롤루덱스==== | ||
+ | |||
+ | {{: | ||
+ | |||
+ | 수용성 프로게스테론(aqueous progesterone)을 β-시클로덱스트린 복합체 형태로 만든 피하 주사용 제제. | ||
+ | 근육주사에 비해 통증과 불편감이 적고, 질내 제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문화적, | ||
+ | 자궁내막을 안정시키고 착상을 도와 임신 유지에 도움을 준다 | ||
+ | |||
=====추적===== | =====추적=====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