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infertility [2025/05/13 09:28] – [약물] V_Lmed:infertility [2025/07/19 03:29] (현재) 162.158.193.101
줄 5: 줄 5:
  
 여성의 임신 능력은 35세를 중심으로 다소 저하되다가 40세 이후에는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난임 부부의 비율은 전체 부부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여성의 임신 능력은 35세를 중심으로 다소 저하되다가 40세 이후에는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난임 부부의 비율은 전체 부부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고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amh]]
 ====원인==== ====원인====
  
- 여성원인이 약 35%, 남성원인이 약 35%, 양쪽 모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가 약 20% 정도를 차지하며, 원인 불명의 경우가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 여성원인이 약 35%, [[male factor|남성원인]]이 약 35%, 양쪽 모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가 약 20% 정도를 차지하며, 원인 불명의 경우가 약 10%를 차지하고 있다
  
 [[tubal factor infertility]] [[tubal factor infertility]]
 =====약물===== =====약물=====
- 
  
 ^약물군        ^ 주요 약물 이름        ^ 특징                     ^ ^약물군        ^ 주요 약물 이름        ^ 특징                     ^
줄 21: 줄 19:
 | 배란유도트리거 | 오비트렐, 프레그닐      | 배란 촉진                 | | 배란유도트리거 | 오비트렐, 프레그닐      | 배란 촉진                 |
 | [[med:luteal_phase_defect|황체기지지제]]   | 크리논젤, 듀파스톤, 프로게스테론 오일, 프롤루텍스((Prolutex® 25mg inj (비급여) 난자 채취일로부터 임신 12주까지 1일 1회 25mg을 허벅지 또는 복부에 피하 주사한다. 실온보관 {{:med:infertility_4711.png}}))  | 착상 유지          | | [[med:luteal_phase_defect|황체기지지제]]   | 크리논젤, 듀파스톤, 프로게스테론 오일, 프롤루텍스((Prolutex® 25mg inj (비급여) 난자 채취일로부터 임신 12주까지 1일 1회 25mg을 허벅지 또는 복부에 피하 주사한다. 실온보관 {{:med:infertility_4711.png}}))  | 착상 유지          |
- 
  
 =====치료===== =====치료=====
줄 31: 줄 28:
  
 ====인공수정==== ====인공수정====
-인공수정은 배란기에 정자를 처리하여 정제 처리된 정자를 자궁 속에 넣어주는 시술임. 수정은 정상적인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난관에서 일어나므로 최소한 한쪽 난관은 이상이 없어야 함. +인공수정은 배란기에 정자를 처리하여 정제 처리된 정자를 자궁 속에 넣어주는 시술임. 수정은 정상적인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난관에서 일어나므로 최소한 한쪽 난관은 이상이 없어야 함.
  
-인공수정은 배란 방법에 따라 자연배란 인공수정과 과배란 인공수정이 있는데, 과배란 인공수정은 호르몬 주사를 맞고 과배란을 유도하게 된다. 인공수정 시술을 하기 전까지 병원을 2-3회 내원하고, 시술 당일 내원하여 정자를 채취한 후 약 1시간 30분 정도 정자를 처리하며, 시술은 수 분 내에 끝나게 되고 통증은 없다. 시술 후 약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귀가 함. +인공수정은 배란 방법에 따라 자연배란 인공수정과 과배란 인공수정이 있는데, 과배란 인공수정은 호르몬 주사를 맞고 과배란을 유도하게 된다. 인공수정 시술을 하기 전까지 병원을 2-3회 내원하고, 시술 당일 내원하여 정자를 채취한 후 약 1시간 30분 정도 정자를 처리하며, 시술은 수 분 내에 끝나게 되고 통증은 없다. 시술 후 약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귀가 함.
  
 시술비용 또한 부담이 적어서 경미한 불임증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임. 그러나 난관이 폐쇄된 경우나 남성불임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시술비용 또한 부담이 적어서 경미한 불임증의 환자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임. 그러나 난관이 폐쇄된 경우나 남성불임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줄 81: 줄 78:
 정자의 처리 과정을 거쳐서 난자와 함께 체외에서 수정을 시킨다. 정자와 난자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연적인 수정이 이루어진다. (( 16~18시간 후 난자 주위의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수정 여부를 판별하는데, 2개의 전핵이 관찰되면 정상적인 수정이 일어난 것으로 간주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수정이 전혀 일어나지 않거나 수정률이 매우 저조한 경우가 있으며, 이는 동일 환자에서도 시술주기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최소한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만 저수정률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자의 처리 과정을 거쳐서 난자와 함께 체외에서 수정을 시킨다. 정자와 난자의 상태가 좋은 경우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자연적인 수정이 이루어진다. (( 16~18시간 후 난자 주위의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수정 여부를 판별하는데, 2개의 전핵이 관찰되면 정상적인 수정이 일어난 것으로 간주한다. 일부 환자의 경우, 수정이 전혀 일어나지 않거나 수정률이 매우 저조한 경우가 있으며, 이는 동일 환자에서도 시술주기마다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최소한 3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만 저수정률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배아의 등급에 따라서 이식하는 배야의 개수를 정하고 이식 날짜를 선정함. 일반적으로 3일 배양과 5일 배양 후에 이식을 하게 된다.  +배아의 등급에 따라서 이식하는 배야의 개수를 정하고 이식 날짜를 선정함. 일반적으로 3일 배양과 5일 배양 후에 이식을 하게 된다.
  
 심한 남성 난임으로 심한 남성 난임으로
-자연적인 수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med:icsi|미세수정(ICSI)]] 을 통해 인위적으로 수정을 도와준다. 수정 후 2-5일간 배양을 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 이식을 결정한다. +자연적인 수정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med:icsi|미세수정(ICSI)]] 을 통해 인위적으로 수정을 도와준다. 수정 후 2-5일간 배양을 하고, 환자 상태에 따라 이식을 결정한다.
  
 {{:med:infertility_1940.png}} {{:med:infertility_1940.png}}
  
 보조부화술((인간 배아의 자궁내막 착상은 수정 5~7일 후에 일어나는데 이 때 배아의 투명대가 소실되는 현상, 즉 부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배아 투명대의 일부를 기계적으로 절개하거나 화학물질로 용해시킴으로써 배아의 자궁내막착상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을 사용하면  배아이식시 반복적인 착상실패 환자, 고령의 환자 등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보조부화술((인간 배아의 자궁내막 착상은 수정 5~7일 후에 일어나는데 이 때 배아의 투명대가 소실되는 현상, 즉 부화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배아 투명대의 일부를 기계적으로 절개하거나 화학물질로 용해시킴으로써 배아의 자궁내막착상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을 사용하면  배아이식시 반복적인 착상실패 환자, 고령의 환자 등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할 수 있다.
- 
- 
  
 ===이식=== ===이식===
줄 109: 줄 103:
 반영구적이며, 추후에 어느 때라도 자궁내막이 호르몬치료 등 반영구적이며, 추후에 어느 때라도 자궁내막이 호르몬치료 등
 으로 준비만 되면 융해하여 배아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  배아의 동결보존 후 임신예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다른 산과적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 없다 으로 준비만 되면 융해하여 배아이식을 시행할 수 있다.  배아의 동결보존 후 임신예에서 선천성 기형이나 다른 산과적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는 아직까지 없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