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hypertensive_disorder [2015/05/20 06:02] – [만성고혈압] 115.93.88.196 | med:hypertensive_disorder [2025/09/27 01:31]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V_L | ||
|---|---|---|---|
| 줄 1: | 줄 1: | ||
| - | /* {{page>틀:의학}} */ | + | {{tag> |
| + | /* {{page>:틀#의학}} */ | ||
| ======임신 중 고혈압성 장애 (Hypertensive Disorder in Pregnancy) ====== | ======임신 중 고혈압성 장애 (Hypertensive Disorder in Pregnancy) ====== | ||
| + | 임신 중 [[hypertension]] | ||
| 수십년간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과 해결책이 없다. | 수십년간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아직 정확한 원인과 해결책이 없다. | ||
| 모든 임신의 5~10%에서 발생하며, | 모든 임신의 5~10%에서 발생하며, | ||
| 줄 44: | 줄 46: | ||
| * 상기 서술한** [[hypertension|고혈압]]** (수축기 14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90 mmHg 이상) | * 상기 서술한** [[hypertension|고혈압]]** (수축기 140 mmHg 이상 **혹은** 이완기 90 mmHg 이상) | ||
| **그리고** | **그리고** | ||
| - | * **단백뇨** | + | * **[[단백뇨]]** ≥ 300 mg/24h 혹은 \\ Urine Protein: creatinine ratio ≥ 0.3 (24판 추가) 혹은 \\ 지속적인 Dipstick 1+ (다른 방법이 없을 때) |
| **혹은** | **혹은** | ||
| * 혈소판감소증 | * 혈소판감소증 | ||
| 줄 276: | 줄 278: | ||
| =====만성고혈압===== | =====만성고혈압===== | ||
| + | 약 5%의 자간전증은 분만 후에 생긴다. (([[https:// | ||
| + | [[postpartum hypertension]]참조. | ||
| ====혈압관리==== | ====혈압관리==== | ||
| 혈압약은 Labetalol, Nifedipine, Methyldopa가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 혈압약은 Labetalol, Nifedipine, Methyldopa가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 ||
| 줄 285: | 줄 288: | ||
| 하루 250mg 2회를 시작으로 2일이상의 간격을 두고 증량 | 하루 250mg 2회를 시작으로 2일이상의 간격을 두고 증량 | ||
| + | ===히드랄라진=== | ||
| ====예방==== | ====예방==== | ||
| - | 다른 위험인자(조기발병한 자간전증, | + | 다른 위험인자(조기발병한 자간전증, |
| + | 초음파로 [[태아발육제한]]이 있는지 초음파 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 ||
| + | [[태아발육제한]]이 있으면 태반관류의 적절성을 알기 위해 제대동맥도플러혈류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좋다. | ||
| + | |||
| + | 34+0 이전이고 자간전증이 동반되었다면 태아 폐성숙을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 ||
| + | |||
| + | ====분만==== | ||
| + | 혈압만 높고 다른 합병증이나 태아의 이상이 없으면 38+0주 이전에 분만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 ||
| + | |||
| + | 만성고혈압에 자간전증이 병발하였으나, | ||
| + | |||
| + | 주수와 폐성숙 유무에 상관 없이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자간전증에 동반되었을 경우 즉각적인 분만이 권장된다. | ||
| + | |||
| + | - 조절이 안되는 심각한 고혈압 | ||
| + | - 경련 | ||
| + | - 폐부종 | ||
| + | - 태반박리 | ||
| + | - 범발성혈액응고장애 | ||
| + | - 태아곤란 | ||
| + | |||
| + | 34+0 이전의 중증자간전증 산모의 보존적 치료는 적절한 산모/ | ||
| + | |||
| + | 34+0 주 이후의 중증자간전증 산모의 보존적 치료는 권장되지 않는다. (34+0 넘으면 분만한다) | ||
| 줄 303: | 줄 329: | ||
| - | {{tag>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