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hyperprolactinemia [2023/09/04 05:29] – [약물에 의한 원인] V_L | med:hyperprolactinemia [2024/09/28 04:17] (현재) – [치료] V_L | ||
---|---|---|---|
줄 6: | 줄 6: | ||
[[prolactin]] 증가의 원인으로는 마취, 성교, 수술, 유두자극, | [[prolactin]] 증가의 원인으로는 마취, 성교, 수술, 유두자극, | ||
- | 임신을 제외한 생리적인 원인에서는 대개 50 ng/mL을 초과하지 않는다 | + | 임신을 제외한 생리적인 원인에서는 대개 |
+ | 정상적으로 대개 여성에서 남성보다 높으며, 일반적으로 **25** ㎍/L 미만이다. | ||
- | 정상적으로 대개 여성에서 남성보다 높으며, 일반적으로 25 ㎍/L 미만이다. | + | 프로락틴이 |
+ | 간혹 risperidone과 metoclopramide와 같은 약물은 선종의 근거가 없이 | ||
+ | |||
+ | 심지어 경미한 상승에도 프로락틴선종일 가능성도 있지만 대개는 non-prolactin-secreting mass를 우선 고려해야 한다. 또한 프로락틴은 일종의 스트레스 호르몬으로서 정상 상한치의 두 배 정도는 일시적으로 상승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다는 것도 염두해야 한다. | ||
=====원인===== | =====원인===== | ||
줄 116: | 줄 120: | ||
카버락틴 | 카버락틴 | ||
- | cabergoline이 임신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경구용약으로 치료 초기, 0.25 mg씩 일주일에 두번 이 약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환자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에 따라, 일주일에 두 번 0.25 mg씩 용량을 증가시켜 최대 일주일에 두번 1 mg씩 복용할 수 있다. Bromocriptine에 비해 부작용이 적어 bromocriptine에 내성이 있는 환자에서 사용해 볼 수 있다. | + | cabergoline이 임신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경구용약으로 치료 초기, |
+ | |||
+ | **0.25 mg씩 일주일에 두번** | ||
+ | |||
+ | 이 약을 복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환자의 혈중 프로락틴 농도에 따라, 일주일에 두 번 0.25 mg씩 용량을 증가시켜 최대 일주일에 두번 1 mg씩 복용할 수 있다. Bromocriptine에 비해 부작용이 적어 bromocriptine에 내성이 있는 환자에서 사용해 볼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