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의학지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의학은 빠르게 변화하는 학문으로 아래의 내용은 최신의 정보가 아닐 수 있으며, 따라서 글을 읽는 시점에는 정확한 내용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 내용에 따라 스스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치료하려 하지 마십시오. 질병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진료가 필수적입니다. 이 내용은 의학적 상식을 넓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십시오.

음낭수종

한쪽 또는 양쪽 음낭 안에 물이 차서 불룩하게 보이거나 만져지는 것을 말함. 옛날 어르신들이 짝불알이라고 말하시던 질환인데, 짝불알이라는 말은 한쪽 고환이 음낭 안에 없는 경우인 잠복고환을 지칭하기도 함. 의학적으로 음낭수종이란 음낭 안에서 고환을 둘러싸고 있는 고환초막이라고 하는 막 사이의 공간에 물 (장액) 이 고여 있는 상태로서 소아에서 흔히 발견되는 질환임. 음낭수종은 액체가 고인 초막이 음낭에만 국한되어 있을 수도 있고, 고환 상부까지 확장되어 서혜부 (샅 부위) 나 음낭 상부에서 만져지기도 함. 한 예로 우측 음낭수종이 발생한 아이의 음낭을 보면 다음과 같다.

원인

아기가 출생하기 전 태생기 동안에 태아의 복강 안에 있던 고환이 음낭쪽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환이 초상돌기라고 하는 복막의 일부와 함께 내려오게 된다. 고환을 둘러싸게 되는 복막의 일부는 고환초막이라고 부르게 된다. 만약, 초상돌기가 막히지 않으면 초상돌기를 통해서 아기의 복강 안에 있던 장액 (복수) 이 음낭 내의 고환초막 안으로 자유로이 출입을 하게 되고, 이를 교통성 음낭수종이라 함. 즉, 아이의 복강과 음낭에 연결통로가 남아 있어 이를 통해 음낭에 물이 고여 종괴 ( 덩어리) 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교통로가 매우 커서 복강 안에 있는 장 (창자) 이 이곳을 통해 음낭까지 내려오게 되는 것을 탈장이라고 함. 따라서 소아에서 음낭수종과 탈장은 같은 기전으로 생긴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신생아에서는 초상돌기를 통하여 음낭과 복강 사이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심하게 운다거나 만성 기침이나 변비로 복압이 올라가는 경우에 복수가 음낭으로 내려와서 음낭수종이 발견된다. 다행히 이러한 초상돌기는 출생 전후와 유아기를 지나면서 대부분 저절로 막혀 없어지게 된다.

진단

음낭수종은 물혹과 같은 종물로 만져지고 통증이 없어서, 대개 아기를 목욕시키거나 옷이나 기저귀를 갈다가 발견하여 병원에 오게 된다. 영유아에서는 복압의 변화에 따라서 음낭수종의 크기가 커졌다가 작아졌다 하기도 하고, 때로는 음낭이 너무 팽팽하게 커져서 고환을 만지기가 어려울 때도 있다. 비뇨기과 의사들은 음낭에다가 빛을 비추어보게 되는데, 이때 빛이 잘 투과되면 음낭 안의 종물의 성분이 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음낭수종으로 쉽게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탈장이 동반된 경우나 고환 종양이 있는 경우, 또는 음낭 안에 혈액이 고인 경우는 빛이 잘 투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빛이 잘 투과되지 않 소아 음낭수종의 진단방법

치료

음낭과 복강을 연결하는 통로인 초상돌기는 대부분 1세 이전에 자연적으로 막히고 음낭수종이 흡수되지만 그 이후에는 초상돌기가 막힐 가능성이 작다. 따라서 아기가 첫 돌이 될 때까지는 기다려보는 것이 좋고, 만약 그 이후에도 음낭수종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함.

수술

음낭수종은 1세 이후에 수술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타당하지만, 교통성 음낭수종에 탈장이 동반되어 있다면 1세 이전이라도 수술을 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 그 이유는 초상돌기를 통해 음낭 내로 내려왔던 장이 다시 복강 내로 올라가지 못하고 끼이는 경우 (감돈탈장)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 이럴 경우에는 큰 수술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임. 그 외에 음낭수종이 매우 커서 고환 혈류장애를 초래할 우려가 있거나 아이가 매우 불편해하는 경우 또는 외관상에 문제가 되는 경우에도 1세 이전에 수술을 할 수 있다.

음낭수종의 수술은 전신마취를 한 후 서혜부 (팬티라인 근처의 살이 접히는 부위) 에 1-2cm 정도 절개를 한 후 초상돌기만을 분리하여 묶어주는 고위결찰술을 하고, 그 하부의 초상돌기를 제거하게 된다.

합병증

음낭수종의 경우는 대개 긴급하게 수술할 필요는 없으므로, 환아의 전신상태가 가장 좋을 때 수술하는 것이 마취나 수술과 연관된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음낭수종 수술 후에 합병증은 잘 생기지 않지만, 음낭수종의 재발, 정관 손상이나 드물게 고환위축이 올 수도 있다.

흡입술

교통성이 아닌 음낭수종의 경우 주사기로 음낭 안의 물을 뽑아내는 방법 (천자) 을 시행하기도 하지만, 곧 다시 물이 차게 되므로 별 의미가 없다. 더욱이 천자할 때 고환이나 정관, 고환으로 가는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고, 또한, 음낭 안에 피가 고이거나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며 확실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음낭수종의 크기가 매우 커서 혈류장애의 위험성이 있다든지 아이가 매우 불편해 하는 경우 또는 고환이 잘 만져지지 않는 경우에는 천자하여 크기를 일시적으로 줄이거나 고환을 만져볼 수는 있다.

연결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