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hrt [2025/10/20 05:11] – [유방암] V_Lmed:hrt [2025/11/06 05:39] (현재) – [홀몬요법제] V_L
줄 45: 줄 45:
 | 트리시퀀스 | Estradiol hemihydrate 2mg (청색정) \\ Estradiol hemihydrate 1mg (적색정) \\ Estradiol hemihydrate 2mg (백색정) | \\ \\ Norethisterone acetate 1mg (백색정) | 9,168원  월경 | | 트리시퀀스 | Estradiol hemihydrate 2mg (청색정) \\ Estradiol hemihydrate 1mg (적색정) \\ Estradiol hemihydrate 2mg (백색정) | \\ \\ Norethisterone acetate 1mg (백색정) | 9,168원  월경 |
 | 프로기노바28정 1mg/2mg | Estradiol valerate 1mg/2mg | | 173원/정 | | 프로기노바28정 1mg/2mg | Estradiol valerate 1mg/2mg | | 173원/정 |
-<del>[[듀아비브]] 정 0.45/20mg </del> | conjugated equine estrogens 4.29% 10.4895㎎ | bazedoxifene acetate 22.56㎎ (20㎎ as bazedoxifene) | 52,000원  |+| [[듀아비브]] 정 0.45/20mg | conjugated equine estrogens 4.29% 10.4895㎎ | bazedoxifene acetate 22.56㎎ (20㎎ as bazedoxifene) | 52,000원  |
  
  
줄 88: 줄 88:
 ====정맥 혈전색전증==== ====정맥 혈전색전증====
     에스트로젠 혹은 에스트로젠-프로게스테론 HRT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심부정맥혈전 혹은 폐색전과 같은 정맥 혈전색전증 (VTE, venous thromboembolism) 발생 위험과 연관된다. 한 무작위 대조 연구와 역학 연구에서 약물 처방군에서 약물 비처방군과 비교하여 2-3배 더 높은 위험을 발견하였다. 약물을 처방하지 않은 경우 VTE 사례는 5년 기간 동안 50-59세1000명의 여성 환자당 약 3명이 그리고 60-69세 1000명의 여성당 8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5년간 HRT를 받은 건강한 여성들 중에서 5년 동안 VTE 추가 발생 사례 건수는 50-59세 1000명의 여성 당 2-6명(best estimate=4)일 것으로 예상하며 60-69세 1000명의 여성 당 5-15명(best estimate=9)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한 발생은 HRT 시작 첫 해에서 그 이후보다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리비알이 동일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에스트로젠 혹은 에스트로젠-프로게스테론 HRT는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심부정맥혈전 혹은 폐색전과 같은 정맥 혈전색전증 (VTE, venous thromboembolism) 발생 위험과 연관된다. 한 무작위 대조 연구와 역학 연구에서 약물 처방군에서 약물 비처방군과 비교하여 2-3배 더 높은 위험을 발견하였다. 약물을 처방하지 않은 경우 VTE 사례는 5년 기간 동안 50-59세1000명의 여성 환자당 약 3명이 그리고 60-69세 1000명의 여성당 8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5년간 HRT를 받은 건강한 여성들 중에서 5년 동안 VTE 추가 발생 사례 건수는 50-59세 1000명의 여성 당 2-6명(best estimate=4)일 것으로 예상하며 60-69세 1000명의 여성 당 5-15명(best estimate=9)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한 발생은 HRT 시작 첫 해에서 그 이후보다 더 빈번히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리비알이 동일 수준의 위험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 
  
     VTE의 위험 요소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개인 병력이나 가족병력, 중등의 비만(BMI>30kg/m2)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를 포함한다. VTE 의 정맥류의 가능한 역할에 대해서는 의견일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VTE의 위험 요소로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것은 개인 병력이나 가족병력, 중등의 비만(BMI>30kg/m2)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를 포함한다. VTE 의 정맥류의 가능한 역할에 대해서는 의견일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줄 94: 줄 93:
     VTE위험은 장기간 부동상태, 주요 외상 혹은 주요 외과수술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수술 후 VTE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수술 후 환자에게 세심한 주의와 예방법이 주어져야 한다. 계획수술 후에 장기간 부동상태가 지속될 경우 - 특히 복부 수술 혹은 하지 부위의 정형외과 수술 - 가능하다면 HRT 를 4주에서 6주 먼저 일시적으로 중단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완전히 기동할 수 있을 때까지는 치료를 재개하지 말아야 한다.     VTE위험은 장기간 부동상태, 주요 외상 혹은 주요 외과수술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수술 후 VTE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수술 후 환자에게 세심한 주의와 예방법이 주어져야 한다. 계획수술 후에 장기간 부동상태가 지속될 경우 - 특히 복부 수술 혹은 하지 부위의 정형외과 수술 - 가능하다면 HRT 를 4주에서 6주 먼저 일시적으로 중단할 것을 고려해야 한다. 완전히 기동할 수 있을 때까지는 치료를 재개하지 말아야 한다.
     VTE가 치료 이후 발생하였다면 약물 투약은 중단되어야 한다. 환자들에게 잠재적인 혈전색전증 증상을 인지하였을 때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하여야 한다(예, 통증성 다리 부종, 갑작스런 흉통, 호흡곤란).     VTE가 치료 이후 발생하였다면 약물 투약은 중단되어야 한다. 환자들에게 잠재적인 혈전색전증 증상을 인지하였을 때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하여야 한다(예, 통증성 다리 부종, 갑작스런 흉통, 호흡곤란).
 +
 +^ 약물명 (제품명) ^ 주성분 ^ 약물 분류 ^ 정맥혈전증(VTE) 위험 요약 ^
 +| **안젤릭 (Angeliq)** |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 드로스피레논 (Drospirenone) | 경구 E+P 요법((**E+P 요법 (Estrogen + Progestin):**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자궁내막 보호) 복합 요법.)) | 비사용자 대비 VTE 위험이 **증가**함. 사용된 프로게스틴(드로스피레논)은 일부 피임약 연구에서 다른 성분 대비 VTE 위험이 약간 더 높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HRT 용량에서의 데이터는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
 +| **리비알 (Livial)** | 티볼론 (Tibolone) | 기타 (STEA) ((**STEAR (Selective Tissue Estrogenic Activity Regulator):**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활성 조절제. 티볼론은 조직에 따라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틴, 안드로겐 효과를 선택적으로 나타냅니다.)) | 비사용자 대비 VTE 위험이 **증가**함. 특히 사용 첫 1년 이내, 그리고 60세 이상의 고령 여성에서 위험도가 더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 **페모스톤 (Femoston)** | 에스트라디올 (Estradiol) + 디드로게스테론 (Dydrogesterone) | 경구 E+P 요법((**E+P 요법 (Estrogen + Progestin):**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자궁내막 보호) 복합 요법.)) | 비사용자 대비 VTE 위험이 **증가**함. 단, 일부 관찰 연구에서는 사용된 프로게스틴(디드로게스테론)이 다른 합성 프로게스틴(예: MPA)에 비해 VTE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음**을 시사함. |
 +| **듀아비브 (Duavive)** | 결합형 에스트로겐 (CEE) + 바제독시펜 (Bazedoxifene) | TSEC((**TSEC (Tissue Selective Estrogen Complex):** 조직 선택적 에스트로겐 복합체. 에스트로겐과 SERM(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을 결합하여, 에스트로겐의 이점(골다공증 예방, 혈관운동 증상 완화)은 유지하고 특정 조직(자궁내막, 유방)에 대한 자극은 억제함.))  | 임상 연구(SMART Trial)에서 **위약(Placebo) 대비 VTE 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따라서 전통적인 경구 E+P 요법에 비해 VTE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된다. |
 +
 +**경구 vs. 경피(패치형):** 일반적으로 **경구(먹는 약)** HRT는 간에서 대사되는 과정(초회 통과 효과)을 거치면서 혈액 응고 인자를 더 많이 생성시켜, **경피(붙이는 패치형)** 제제보다 VTE 위험이 더 높다. VTE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할 때는 경피용 에스트로겐이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 위 표의 약물들은 모두 경구제임.)
 +
 +**위험도 인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은 비사용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한다는 의미이며, 절대적인 위험은 여전히 낮을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기저 위험(비만, 흡연, 고령, 혈전증 과거력 등)이 높다면 이 증가는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할 수 있다.
 +
 +**듀아비브의 특성:** 듀아비브는 프로게스틴 대신 SERM(바제독시펜)을 사용하여 자궁내막을 보호함. 이 기전의 차이로 인해 전통적인 경구 E+P 요법과는 다른 VTE 위험 프로파일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안전한 옵션으로 간주된다.
 +
 +**결론적으로, VTE 위험에 있어 듀아비브가 가장 낮은 위험도(위약과 유사), 페모스톤은 다른 경구 E+P 요법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안젤릭과 리비알은 경구 HRT의 일반적인 VTE 위험 증가 특성을 따릅니다.**
 +
 ====관상동맥 질환(CAD)==== ====관상동맥 질환(CAD)====
     연속복합 접합 에스트로젠 (continuous combined conjugated estrogens) 과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를 처방한 무작위 대조연구들에 의하면 심혈관계 이득에 관한 증거가 없다. 두 개의 대규모 임상 연구 - WHI 와 HERS(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는 처방 후 첫 해에 심혈관계 이환율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HRT 제제의 경우 심혈관계 이환율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의 제한된 데이터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이 다른 HRT 약물로까지 확장시켜 볼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연속복합 접합 에스트로젠 (continuous combined conjugated estrogens) 과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PA)를 처방한 무작위 대조연구들에 의하면 심혈관계 이득에 관한 증거가 없다. 두 개의 대규모 임상 연구 - WHI 와 HERS(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는 처방 후 첫 해에 심혈관계 이환율의 위험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HRT 제제의 경우 심혈관계 이환율이나 사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무작위 대조 연구에서의 제한된 데이터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이 다른 HRT 약물로까지 확장시켜 볼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