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he4 [2016/02/23 04:53] – V_L | med:he4 [2022/03/31 03:34] (현재) – [위양성] V_L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page>: | {{page>: | ||
| 줄 4: | 줄 5: | ||
| 난소암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법으로는 골반초음파와 혈액검사를 통한 종양표지자 검사가 있다. | 난소암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법으로는 골반초음파와 혈액검사를 통한 종양표지자 검사가 있다. | ||
| + | 일반적으로 상피성난소암을 진단하기 위한 혈액검사로 CA125를 가장 권장함.((난소암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상피성난소암(90%), | ||
| + | |||
| HE4 (Human epididymis protein 4, 인간부고환단백)는 최근 발견된 상피성난소암의 조기진단마커로 [[CA125]]와 함께 | HE4 (Human epididymis protein 4, 인간부고환단백)는 최근 발견된 상피성난소암의 조기진단마커로 [[CA125]]와 함께 | ||
| 검사하고 ROMA (Risk of Ovarian Malignancy Algorithm) score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면 상피성난소암을 앓는 | 검사하고 ROMA (Risk of Ovarian Malignancy Algorithm) score를 활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면 상피성난소암을 앓는 | ||
| 여성의 94%를 올바르게 분류할 수 있다. | 여성의 94%를 올바르게 분류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장액성 상피난소암에서 매우 높은 농도로 발견되며, [[ca125]]와 비교했을 때 월경이나, | ||
| + | |||
| + | 폐경전 여성에서 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다. | ||
| 줄 17: | 줄 25: | ||
| 난소암을 진단하기 위한 각 검사의 민감도는 HE4가 72.9%, CA125가 43.3%로 HE4가 단독 검사로서 가장 우수한 민감도를 보여주었다. CA125 + HE4 병용 검사 시 난소암의 위험도는 CA125 단독검사보다 33.1%, HE4 단독검사보다 3.5% 민감도가 높다. | 난소암을 진단하기 위한 각 검사의 민감도는 HE4가 72.9%, CA125가 43.3%로 HE4가 단독 검사로서 가장 우수한 민감도를 보여주었다. CA125 + HE4 병용 검사 시 난소암의 위험도는 CA125 단독검사보다 33.1%, HE4 단독검사보다 3.5% 민감도가 높다. | ||
| + | |||
| + | |||
| + | HE4는 상피성 난소암의 아형 중 장액성 암(serous cancer)과 자궁내막양 암(endometrioid cancer)에서 | ||
| + | 혈중 농도가 많이 증가한다 | ||
| + | |||
| + | HE4도 난소암 이외에 폐암이나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등의 다른 악성 종양 및 만성신장질환]과 신부전 등의 질환에서도 상승된다. 그리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CA125와는 반대로 HE4는 나이에 따라 증가하며, | ||
| + | |||
| + | {{: | ||
| + | =====로마 점수 (ROMA score)===== | ||
| ROMA score란 골반종괴(pelvic mass)를 가진 폐경 전/후 여성에서 HE4와 CA125의 혈액검사로 악성 종양의 위험도를 | ROMA score란 골반종괴(pelvic mass)를 가진 폐경 전/후 여성에서 HE4와 CA125의 혈액검사로 악성 종양의 위험도를 | ||
| 줄 27: | 줄 44: | ||
| 계산된 PI를 이용하여 ROMA결과를 계산함. | 계산된 PI를 이용하여 ROMA결과를 계산함. | ||
| ROMA value (%) = exp(PI) / [1 + exp(PI)] * 100 | ROMA value (%) = exp(PI) / [1 + exp(PI)] * 100 | ||
| + | |||
| + | =====고려할 점들===== | ||
| + | |||
| + | ====위양성==== | ||
| + | * HE4는 나이가 들면서 증가한다. | ||
| + | *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경우 증가한다. | ||
| + | * 신부전이 있는 경우 증가. | ||
| + | * 삼출액 (effusion) 있을 경우 증가. | ||
| + | * 간질환, 폐질환 시 증가. | ||
| + | (([[https://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줄 44: | 줄 71: | ||
| cancer. Asian Pac J Cancer Prev, 2014, 15(1), 101-105 | cancer. Asian Pac J Cancer Prev, 2014, 15(1), 101-105 | ||
| - | {{tag>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