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diabetes_mellitus [2025/08/20 10:59] – [제2형 당뇨병] V_L | med:diabetes_mellitus [2025/08/20 12:16] (현재)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DM)] V_L | ||
---|---|---|---|
줄 4: | 줄 4: | ||
당뇨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의 하나로, 췌장에서 인슐린의 생성이 부족하거나 또는 체내 세포가 인슐린에 저항성을 갖게 된 것이 원인이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췌장에서 합성되며, | 당뇨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만성질환의 하나로, 췌장에서 인슐린의 생성이 부족하거나 또는 체내 세포가 인슐린에 저항성을 갖게 된 것이 원인이다. 정상적으로 인슐린은 췌장에서 합성되며, | ||
- | 당뇨병의 치료는 혈액 내 포도당을 조절하는 것이다. 당뇨병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중 0.1%가 평생 동안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며 이외에는 식사요법과 약물요법을 받고 있다. 이러한 치료를 통해 당뇨병 환자들은 일상 생활을 영위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에게서 눈, 신장, 심혈관계, | ||
- | =====유형===== | + | =====원인===== |
- |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 + | 포도당은 |
- | ==== 제1형 | + | > 지방산 <- 비만 <- 코칼로리 식단, 특히 [[fructose|과당]] 섭취 |
- | 인슐린 생성이 부족하거나 전혀 생성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갑자기 발생한다. 반드시 인슐린 치료를 받아야 하며 식사요법도 필요하다. | + | |
- | ====제2형 당뇨병==== | + | |
- | + | ||
- | 가장 많이 나타나는 당뇨병 유형으로, | + | |
- | + | ||
- | ====임신성 당뇨병==== | + | |
- | + | ||
- | [[med: | + | |
- | + | ||
- | =====원인===== | + | |
====제1형 당뇨병==== | ====제1형 당뇨병==== | ||
줄 46: | 줄 36: | ||
근육은 주요 포도당 흡수 기관인데, | 근육은 주요 포도당 흡수 기관인데, | ||
+ | |||
+ | |||
+ | =====유형===== | ||
+ | |||
+ | 당뇨병은 크게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된다. | ||
+ | |||
+ | ==== 제1형 당뇨병==== | ||
+ | |||
+ | 인슐린 생성이 부족하거나 전혀 생성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갑자기 발생한다. 반드시 인슐린 치료를 받아야 하며 식사요법도 필요하다. | ||
+ | ====제2형 당뇨병==== | ||
+ | |||
+ | 가장 많이 나타나는 당뇨병 유형으로, | ||
+ | |||
+ | ====임신성 당뇨병==== | ||
+ | |||
+ | [[med: | ||
+ | |||
+ | |||
=====증상===== | =====증상===== | ||
줄 118: | 줄 126: | ||
자료 출처: NIDDK,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site. | 자료 출처: NIDDK,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ebsite. | ||
+ | |||
+ |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 | ||
+ | 지속적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한 사람은, 당뇨환자, | ||
+ | |||
+ | 일반인은 지속적 혈당 측정이 필요 없다. | ||
+ | 일반인은 [[hba1c|당화혈색소]] 검사, 건강한 식습관, 체중 관리로 충분하다. | ||
+ | 일반인, 특히 20대 정상인은 혈당 측정에 민감할 필요가 없다. | ||
+ | |||
+ | 숨겨진 범인은 [[fructose|과당]]이다. 과도한 과당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치료=====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