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anisakiasis [2013/03/15 22:15] – V_L | med:anisakiasis [2016/07/10 09:50] (현재) – 바깥 편집 127.0.0.1 | ||
---|---|---|---|
줄 1: | 줄 1: | ||
+ | {{tag> | ||
+ | ======고래회충증 (Anisakiasis)====== | ||
+ | |||
+ | Anisakis species(고래회충) | ||
+ | |||
+ | Ascaridea 상과에 속하는 선충, | ||
+ | Anisakis 속에는 고래회충(A.simplex), | ||
+ | |||
+ | 감염증을 anisakiasis라고 하며 홀란드, 일본 등에서 많은 인체 기생보고. | ||
+ | |||
+ | 우리 나라에서는 田(1966) 등이 해선어류 11종, 126마리에서 총 1, | ||
+ | |||
+ | =====생활사===== | ||
+ | |||
+ | 해산 포유동물(고래, | ||
+ | |||
+ | 성충이 충란을 산란하여 바닷물에 배출 - 해수에서 부화 - 제1중간숙주(해산 갑각류)에 섭취 - 이 갑각류가 제2중간숙주(해산어류; | ||
+ | |||
+ | =====인체감염===== | ||
+ | |||
+ | 제2중간숙주(해산어류)를 생식할 때에 이루어짐. | ||
+ | 생선이 살아있을때는 주로 생선의 내장에 제한적으로 유충이 기생하지만 죽고난 후에는 근육으로 이행하여 근육(사시미)에서 유충이 발견됨. | ||
+ | |||
+ | =====증상===== | ||
+ | |||
+ | 경구적으로 섭취된 유충은 위장을 중심으로 점막내에 침입 호산구성 육아종을 형성. | ||
+ | 증상은 침입 부위에 따라 다르나 충체의 대사산물이나 사멸된 충체의 흡수등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이 겹쳐서 나타남. | ||
+ | 생선을 날것으로 먹은 수 시간후 상복부의 경련성 동통, 오심, 구토 등 식중독과 유사한 증상. | ||
+ | |||
+ | =====진단===== | ||
+ | |||
+ | 해산 어류의 생식 후 식중독과 같은 증상을 보이면 의심 | ||
+ | 급성기에는 내시경검사가 효과적 | ||
+ | 외과적으로 적출한 병소에서 유충을 확인 진단 | ||
+ | |||
+ | =====치료===== | ||
+ | |||
+ | | ||
+ | |||
+ | =====예방===== | ||
+ | |||
+ | | ||
+ | |||
+ | |||
+ | * [[http://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