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 | |
med:amh [2025/07/03 00:48] – V_L | med:amh [2025/07/03 00:50] (현재) – V_L |
---|
* 극심한 체중 감소 또는 저체중 (BMI가 매우 낮은 경우) | * 극심한 체중 감소 또는 저체중 (BMI가 매우 낮은 경우) |
* 만성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등 | * 만성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등 |
| |
| |
| |
====피임약==== | ====피임약==== |
| |
[[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 ((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al studies revealed that vitamin D supplementations affect serum AMH levels but have opposite effects depending on the ovulatory statuses of the women. It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ovulatory non-PCOS women, while it decreased AMH levels in PCOS women.[[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2921/|출처]])) | [[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 ((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al studies revealed that vitamin D supplementations affect serum AMH levels but have opposite effects depending on the ovulatory statuses of the women. It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ovulatory non-PCOS women, while it decreased AMH levels in PCOS women.[[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2921/|출처]])) |
AMH 검사시 [[med:비타민_d|]]도 같이 검사. | AMH 검사시 [[med:비타민_d|]]도 같이 검사. |
| |
| =====추가 검사===== |
| |
| 낮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 다음의 검사를 해볼 수 있다. |
| |
| * FSH, LH, 에스트라디올 (E2) 등 난소기능 관련 호르몬 |
| * 난포수 측정(초음파) |
| * 염색체 검사 (karyotyping) |
| * 자가면역 항체 검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