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med:amh [2025/07/03 00:48] – V_L | med:amh [2025/08/19 01:11] (현재) – [영향] V_L |
---|
| |
=====영향===== | =====영향===== |
AMH 검사는 생리 주기에 관계없이 언제 검사를 받아도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가 있어서, 난포기 초기에 검사를 해아한다는 보고가 있다. | AMH 검사는 생리 주기에 관계없이 언제 검사를 받아도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일부,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가 있어서, 난포기 초기에 검사를 해아한다는 보고가 있다. |
| |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과 [[med:흡연|흡연]]이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 [[http://www.ncbi.nlm.nih.gov/pubmed/24821925|Broer SL, Broekmans FJ, Laven JS, Fauser BC (2014). "Anti-Müllerian hormone: ovarian reserve testing and its potential clinical implications". Human Reproduction Update 20 (5): 688–701. doi:10.1093/humupd/dmu020. PMID 24821925]])) |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과 [[med:흡연|흡연]]이 영향을 준다는 보고가 있다. (( [[http://www.ncbi.nlm.nih.gov/pubmed/24821925|Broer SL, Broekmans FJ, Laven JS, Fauser BC (2014). "Anti-Müllerian hormone: ovarian reserve testing and its potential clinical implications". Human Reproduction Update 20 (5): 688–701. doi:10.1093/humupd/dmu020. PMID 24821925]])) |
* 극심한 체중 감소 또는 저체중 (BMI가 매우 낮은 경우) | * 극심한 체중 감소 또는 저체중 (BMI가 매우 낮은 경우) |
* 만성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등 | * 만성 스트레스, 과도한 운동 등 |
| |
| |
| |
====피임약==== | ====피임약==== |
| |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 중이나, [[med:임신|임신]] 중에는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 [[med:경구피임약|피임약]] 복용 중이나, [[med:임신|임신]] 중에는 낮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
피임약 중단 후 2-3개월 후가 정확하다. | 피임약 중단 후 2-3개월 후가 정확하다. |
| |
| ====출산==== |
| 분만 후 바로 시행한 AMH 검사는 일시적으로 낮게 나올 수 있으므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면, 출산 2~3개월 이상 지난 후 (보통 6개월) 검사가 더 적절하다. |
| 다만, 출산 자체가 난소 예비력을 떨어뜨리지는 않으며, AMH 감소는 일시적 변화임. |
| |
====흡연==== | ====흡연==== |
| |
[[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 ((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al studies revealed that vitamin D supplementations affect serum AMH levels but have opposite effects depending on the ovulatory statuses of the women. It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ovulatory non-PCOS women, while it decreased AMH levels in PCOS women.[[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2921/|출처]])) | [[med:비타민_d|비타민 D]] 상태가 AMH 수치에 영향을 줄수 있다 ((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nterventional studies revealed that vitamin D supplementations affect serum AMH levels but have opposite effects depending on the ovulatory statuses of the women. It increased serum AMH levels in ovulatory non-PCOS women, while it decreased AMH levels in PCOS women.[[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52921/|출처]])) |
AMH 검사시 [[med:비타민_d|]]도 같이 검사. | AMH 검사시 [[med:비타민_d|]]도 같이 검사. |
| |
| =====추가 검사===== |
| |
| 낮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 다음의 검사를 해볼 수 있다. |
| |
| * FSH, LH, 에스트라디올 (E2) 등 난소기능 관련 호르몬 |
| * 난포수 측정(초음파) |
| * 염색체 검사 (karyotyping) |
| * 자가면역 항체 검사 |
| |
| =====난자 동결 보존===== |
| |
| |
| * 지원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 난소 기능검사 1.5 ng/ml 이하 20-49세 여성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