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amh [2025/05/20 04:29] – [흡연] V_L | med:amh [2025/08/19 01:11] (현재) – [영향] V_L | ||
---|---|---|---|
줄 32: | 줄 32: | ||
{{: | {{: | ||
- | ^나이^중앙값^ | + | ^나이^중앙값 |
- | |40 - 44|0.88 | + | |35 - 36|2.67 | |
+ | |40 - 44|0.88 | | ||
- | The median AMH levels were 26.61 pmol/L for those aged 20–25 years, 20.89 pmol/L for 26–30 years, 19.92 pmol/L for 31–35 years, 13.71 pmol/L for 36–40 years, 9.24 pmol/L for 41–45 years, and 0.68 pmol/L for 46–50 years. The recommended 2.5th to 97.5th percentiles of AMH level, as reference ranges for various age groups, were found to be: 10.63–55.64 pmol/L (20–25 years), 3.74–61.88 pmol/L (26–30 years), 5.49–47.56 pmol/L (31–35 years), 2.15–48.91 pmol/L (36–40 years), 0.92–41.26 pmol/L (41–45 years), and 0.14–5.10 pmol/L (46–50 years). | + | The median AMH levels were |
+ | 26.61 pmol/L for those aged 20–25 years, | ||
+ | 20.89 pmol/L for 26–30 years, | ||
+ | 19.92 pmol/L for 31–35 years, | ||
+ | 13.71 pmol/L for 36–40 years, | ||
+ | 9.24 pmol/L for 41–45 years, and | ||
+ | 0.68 pmol/L for 46–50 years. | ||
+ | |||
+ | The recommended 2.5th to 97.5th percentiles of AMH level, as reference ranges for various age groups, were found to be: 10.63–55.64 pmol/L (20–25 years), 3.74–61.88 pmol/L (26–30 years), 5.49–47.56 pmol/L (31–35 years), 2.15–48.91 pmol/L (36–40 years), 0.92–41.26 pmol/L (41–45 years), and 0.14–5.10 pmol/L (46–50 years). | ||
{{: | {{: | ||
줄 87: | 줄 96: | ||
=====영향===== | =====영향===== | ||
- | AMH 검사는 생리 주기에 관계없이 언제 검사를 받아도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가 있어서, 난포기 초기에 검사를 해아한다는 보고가 있다. | + | AMH 검사는 생리 주기에 관계없이 언제 검사를 받아도 동일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
[[med: | [[med: | ||
+ | |||
+ | * 극심한 체중 감소 또는 저체중 (BMI가 매우 낮은 경우) | ||
+ | * 만성 스트레스, | ||
+ | |||
+ | |||
====피임약==== | ====피임약==== | ||
줄 95: | 줄 109: | ||
[[med: | [[med: | ||
| | ||
+ | |||
+ | ====출산==== | ||
+ | 분만 후 바로 시행한 AMH 검사는 일시적으로 낮게 나올 수 있으므로, | ||
+ | 다만, 출산 자체가 난소 예비력을 떨어뜨리지는 않으며, AMH 감소는 일시적 변화임. | ||
+ | |||
====흡연==== | ====흡연==== | ||
줄 101: | 줄 120: | ||
[[med: | [[med: | ||
AMH 검사시 [[med: | AMH 검사시 [[med: | ||
+ | |||
+ | =====추가 검사===== | ||
+ | |||
+ | 낮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면 다음의 검사를 해볼 수 있다. | ||
+ | |||
+ | * FSH, LH, 에스트라디올 (E2) 등 난소기능 관련 호르몬 | ||
+ | * 난포수 측정(초음파) | ||
+ | * 염색체 검사 (karyotyping) | ||
+ | * 자가면역 항체 검사 | ||
+ | |||
+ | =====난자 동결 보존===== | ||
+ | |||
+ | |||
+ | * 지원대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