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med:콘돔만_사용하면_성병_예방할_수_있다 [2015/06/03 00:00] – 링크가 옮기기 작업 때문에 적응했습니다 V_Lmed:콘돔만_사용하면_성병_예방할_수_있다 [2025/09/11 07:20] (현재) – ↷ 링크가 이동 작업으로 인해 적응했습니다 172.70.174.167
줄 1: 줄 1:
-{{entry>1;의학/}}+{{tag>성병 std 의학 콘돔}} 
 + {{page>:틀#적건강}}
  
  
 ====== 콘돔만 사용하면 성병 예방할 수 있다?  ====== ====== 콘돔만 사용하면 성병 예방할 수 있다?  ======
  
-{{page>틀:성적건강}}+
  
 현대에 와서 인류에게 가장 무서운 질병은 암과 [[med:aids|에이즈]]. 현대에 와서 인류에게 가장 무서운 질병은 암과 [[med:aids|에이즈]].
줄 10: 줄 11:
 이 중 에이즈의 가장 중요한 전파경로는 성관계. 이 중 에이즈의 가장 중요한 전파경로는 성관계.
  
-처음에는 [[med:anal sex|항문성교]]를 하는 동성애자와 주사기를 쓰는 마약중독자들을 중심으로 퍼졌으나, 이제는 모자(母子)감염이나 잘못된 수혈, 그리고 이성간의 성관계 등의 경로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처음에는 [[항문성교]]를 하는 동성애자와 주사기를 쓰는 마약중독자들을 중심으로 퍼졌으나, 이제는 모자(母子)감염이나 잘못된 수혈, 그리고 이성간의 성관계 등의 경로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에이즈 예외국가는 아니다. [[성병|성병(性病)]]은 성교나 기타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통틀어서 말한다. 좁은 의미의 성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med:hepatitis_b|B형간염]], [[med:lice|사면발이]] 등도 성관계로 전파될 수 있다.+ 우리나라도 에이즈 예외국가는 아니다. [[std|성병(性病)]]은 성교나 기타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을 통틀어서 말한다. 좁은 의미의 성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med:hepatitis_b|B형간염]], [[med:lice|사면발이]] 등도 성관계로 전파될 수 있다.
  
 성병의 종류에는 [[med:syphilis|매독]]과 에이즈 외에도 [[임질|임질]], [[med:ngu|비임균성요도염]], 연성하감, 콘딜로마, 서혜림프육아종, 허페스 등이 있다. 성병 중에는 성기나 요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에이즈나 B형간염, 2,3기 매독처럼 성기와 상관없는 곳에 생기는 경우도 있다. 성병의 종류에는 [[med:syphilis|매독]]과 에이즈 외에도 [[임질|임질]], [[med:ngu|비임균성요도염]], 연성하감, 콘딜로마, 서혜림프육아종, 허페스 등이 있다. 성병 중에는 성기나 요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에이즈나 B형간염, 2,3기 매독처럼 성기와 상관없는 곳에 생기는 경우도 있다.
줄 24: 줄 25:
 [[콘돔|콘돔]]은 가장 효과적인 성병 예방수단이지만 완전하지는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콘딜로마, 사면발이, B형간염 등의 병뿐만 아니라 에이즈도 콘돔으로 다 막기 어렵다. 부부 이외의 성교는 곧 성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콘돔|콘돔]]은 가장 효과적인 성병 예방수단이지만 완전하지는 않다는 것이 문제이다. 콘딜로마, 사면발이, B형간염 등의 병뿐만 아니라 에이즈도 콘돔으로 다 막기 어렵다. 부부 이외의 성교는 곧 성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tag>성병 std 의학}}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별도로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 페이지의 내용은 다음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C Attribution-Noncommercial-Share Alike 4.0 International
med/콘돔만_사용하면_성병_예방할_수_있다.143328965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저자 V_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