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제대혈 [2017/12/05 10:44] – [참조] V_L | med:제대혈 [2025/11/04 02:28] (현재) – [적용] V_L | ||
|---|---|---|---|
| 줄 9: | 줄 9: | ||
| - | 쌍둥이인 경우 두명 다 해야 하는가? | ||
| - | |||
| - | |||
| - | < | ||
| - | 그럴 필요 없다. | ||
| - | |||
| - | 한명의 것으로 형제도 가능하다. | ||
| - | |||
| - | |||
| - | http:// | ||
| - | |||
| =====가족제대혈과 기증제대혈===== | =====가족제대혈과 기증제대혈===== | ||
| 제대혈은 보관형태와 사용주체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개인이 자신과 가족만 쓸 수 있게 사설보관업체와 계약해 맡기는 가족제대혈과 다른 사람의 질병치료와 의학연구 목적으로 대가 없이 기증제대혈은행에 제공하는 기증제대혈로 분류된다. | 제대혈은 보관형태와 사용주체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개인이 자신과 가족만 쓸 수 있게 사설보관업체와 계약해 맡기는 가족제대혈과 다른 사람의 질병치료와 의학연구 목적으로 대가 없이 기증제대혈은행에 제공하는 기증제대혈로 분류된다. | ||
| 줄 27: | 줄 16: | ||
| 가족제대혈과는 달리 기증제대혈은 일종의 공공자원 개념으로, | 가족제대혈과는 달리 기증제대혈은 일종의 공공자원 개념으로, | ||
| - | 특히 제대혈 이식 현황(2001~2013년)을 보면 이 기간 전체 제대혈 보관량 44만6천290건 중에서 치료목적의 이식용으로 쓰인 것은 겨우 890건이었다. 활용비율이 겨우 0.19%에 그쳤다. 흔히 사설 제대혈보관업체를 이용하는 임신부가 염두에 두는 가족제대혈이 이식용으로 쓰인 사례는 179건에 불과했다. 가족제대혈 보관량(40만5천500건)의 0.04%만 치료용으로 쓰였다는 뜻이다. | + | 특히 제대혈 이식 현황(2001~2013년)을 보면 이 기간 전체 제대혈 보관량 44만6천290건 중에서 치료목적의 이식용으로 쓰인 것은 겨우 |
| 공공용으로 보관된 기증제대혈(4만790건)이 이식 치료용으로 쓰인 비율은 1.7%(711건)로, | 공공용으로 보관된 기증제대혈(4만790건)이 이식 치료용으로 쓰인 비율은 1.7%(711건)로, | ||
| + | |||
| + | ====국내 기증제대혈은행==== | ||
| + | 가톨릭조혈모세포은행제대혈은행, | ||
| =====실용성 논란===== | =====실용성 논란===== | ||
| 줄 92: | 줄 84: | ||
| * Evan’s syndrome | * Evan’s syndrome | ||
| * Congenital cytopenia | * Congenital cytopenia | ||
| - | * Aplastic anemia | + | * [[Aplastic anemia]] |
| * Diamond–Blackfan anemia | * Diamond–Blackfan anemia | ||
| * Amegakaryocytic thrombocytopenia | * Amegakaryocytic thrombocytopenia | ||
| 줄 127: | 줄 119: | ||
| 백혈병, 임파종(腫), | 백혈병, 임파종(腫), | ||
| + | |||
| + | =====FAQ===== | ||
| + | |||
| + | |||
| + | 쌍둥이인 경우 두명 다 해야 하는가? | ||
| + | |||
| + | |||
| + | < | ||
| + | 그럴 필요 없다. 한명의 것으로 형제도 가능하다. [[htt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