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med:엽산 [2025/05/19 07:48] – [권장되는 복용량] V_L | med:엽산 [2025/08/19 02:46] (현재) – [Folate vs Folic acid vs 5-MethylTHF] V_L | ||
---|---|---|---|
줄 16: | 줄 16: | ||
다음의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식품섭취로 일일 권장량 0.4mg을 섭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다음의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식품섭취로 일일 권장량 0.4mg을 섭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 ||
- | * 야채: 비트루트, 아스파라거스, | + | * 녹색 잎채소: 시금치, 케일, 브로콜리, 아스파라거스, |
- | * 곡물: 밀 배아 | + | * 콩류: 렌틸콩, 병아리콩, 검은콩, |
- | + | * 과일: | |
- | + | * 곡류 및 견과: 통곡물(현미, | |
+ | * 기타: 간(특히 소간), 달걀 노른자 | ||
=====원리===== | =====원리===== | ||
- | 우리 몸에는 건축자재에 해당하는 벽돌과 같은 물질이 있다. 바로 메칠기(CH3-)다. 이를 이용해 매 순간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물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메칠기는 우리가 섭취하는 메치오닌(methionine)이라는 아미노산이 공급해 준다. 메치오닌에서 메칠기가 빠져나오면 | + | 우리 몸에는 건축자재에 해당하는 벽돌과 같은 물질이 있다. 바로 메칠기(CH3-)다. 이를 이용해 매 순간 우리 몸은 여러 가지 물질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 메칠기는 우리가 섭취하는 메치오닌(methionine)이라는 아미노산이 공급해 준다. 메치오닌에서 메칠기가 빠져나오면 [[homocysteine]]으로 변한다. |
호모시스테인이라는 아미노산은 엽산과 비타민B6와 비타민B12가 충분치 못할 때 생겨나는 나쁜 아미노산이다.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산화질소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을 방해하며 산화 작용을 연쇄적으로 일으켜 뇌신경절을 퇴화시켜 기억력을 상실시킨다. 또, 해마신경세포가 스스로 자살하도록 하고 뇌 단백질을 변질시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며 뼈를 약화시켜 골절을 유발한다. | 호모시스테인이라는 아미노산은 엽산과 비타민B6와 비타민B12가 충분치 못할 때 생겨나는 나쁜 아미노산이다. 혈관 벽을 손상시키고 산화질소가 혈관을 확장시키는 것을 방해하며 산화 작용을 연쇄적으로 일으켜 뇌신경절을 퇴화시켜 기억력을 상실시킨다. 또, 해마신경세포가 스스로 자살하도록 하고 뇌 단백질을 변질시켜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며 뼈를 약화시켜 골절을 유발한다. | ||
줄 56: | 줄 56: | ||
=====Folate vs Folic acid vs 5-MethylTHF===== | =====Folate vs Folic acid vs 5-MethylTHF===== | ||
- | + | ** | |
- | Folate는 천연비타민으로 키위, 간, 시금치 등에 많이 들어있다. | + | Folate**는 천연비타민으로 키위, 간, 시금치 등에 많이 들어있다. |
- | Folic acid는 합성비타민으로 엽산강화식품에 많이 첨가되며, | + | **Folic acid**는 합성비타민으로 엽산강화식품에 많이 첨가되며, |
음식중에 있는 엽산인 folate는 합성 엽산인 folic acid 보다 생체 흡수율이 | 음식중에 있는 엽산인 folate는 합성 엽산인 folic acid 보다 생체 흡수율이 | ||
줄 64: | 줄 64: | ||
것이 바람직함. | 것이 바람직함. | ||
- | Folate는 소장에서 활성화 형태인 | + | * Folate는 |
+ | * Folic acid는 | ||
- | 최종 활성 형태인 5-MethylTHF 을 직접 복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 + | 최종 활성 형태인 |
(([[https:// | (([[https:// | ||
Folic acid를 고용량으로 복용할 경우 간에서 처리되지 못한 일부가 | Folic acid를 고용량으로 복용할 경우 간에서 처리되지 못한 일부가 | ||
+ | |||
+ | =====MTHFR 유전자 변이 ===== | ||
+ | |||
+ | MTHFR은 엽산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로, | ||
+ | MTHFR 유전자의 변이 발생 시 정상보다 활성이 감소한 | ||
+ | MTHFR이 만들어짐에 따라 엽산 대사 이상이 발생하며, | ||
+ | 이로 인해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증가하여 | ||
+ | 자연유산 및 선천성 기형 등의 발병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 |||
+ | MTHFR 유전자는 우리 몸에서 엽산 및 비타민B6와 B12의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함. | ||
+ | 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인 MTHFR은 유전자 한쪽이나 양쪽에 변이가 있게 된다면 | ||
+ | 활성도가 떨어져 엽산 활용에 영향을 주게 된다. | ||
+ | |||
+ | [[MTHFR]] 유전자 변이가 진단되면 고용량 엽산을 복용해 유산과 | ||
+ | 선천성 기형을 예방할 수 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