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이전 판다음 판 | 이전 판 | ||
| med:선천성_매독 [2015/06/15 02:10] – [치료] V_L | med:선천성_매독 [2025/01/14 09:51] (현재) – V_L | ||
|---|---|---|---|
| 줄 1: | 줄 1: | ||
| + | {{tag> | ||
| ====== 선천성 매독 | ====== 선천성 매독 | ||
| - | {{page># | ||
| - | {{page># | ||
| - | 태아가 출생할 때 이미 [[med:매독|매독]]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 감염의 경로는 자궁 안에서 태반을 경유하여 혈액의 순환에 의한 혈행성감염이다. 즉 매독에 감염된 어머니가 임신하였을 때 혈액의 순환에 의해 스피로헤타가 태아에 옮겨져 태아가 매독증상을 나타낸다. 선천성 매독증상의 발현시기에 따라 태아매독·유아매독·지발성매독으로 분류한다. | + | |
| + | 태아가 출생할 때 이미 [[med:syphilis|매독]]에 감염되어 있는 상태. 감염의 경로는 자궁 안에서 태반을 경유하여 혈액의 순환에 의한 혈행성감염이다. 즉 매독에 감염된 어머니가 임신하였을 때 혈액의 순환에 의해 스피로헤타가 태아에 옮겨져 태아가 매독증상을 나타낸다. 선천성 매독증상의 발현시기에 따라 태아매독·유아매독·지발성매독으로 분류한다. | ||
| 선천성 매독증상의 발현시기에 따라 태아매독·유아매독·지발성매독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태아매독은 출생 당시 이미 피부·내장에 매독증상을 가지고 있는데 대체로 유산이나 사산되는 경우가 많다. | 선천성 매독증상의 발현시기에 따라 태아매독·유아매독·지발성매독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태아매독은 출생 당시 이미 피부·내장에 매독증상을 가지고 있는데 대체로 유산이나 사산되는 경우가 많다. | ||
| 줄 16: | 줄 16: | ||
| 선천성 매독의 예방은 임신 전에 부부가 매독검사를 시행하고, | 선천성 매독의 예방은 임신 전에 부부가 매독검사를 시행하고, | ||
| + | |||
| + | 임신 16주까지는 태반의 방어막으로 인해 태아 감염이 방지되지만, | ||
| + | |||
| 매독균이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가 매독균에 감염되면, | 매독균이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가 매독균에 감염되면, | ||
| 줄 88: | 줄 91: | ||
| - | {{tag> | + | |